올 여름 휴가철에 기업들의 절반 가량만 휴가비를 지급할 계획이며 여름휴가 일수는 평균 4.4일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종업원 100인이상 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하계휴가 계획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기업의 80.7%가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평균 휴가일수는 4.4일로 작년의 4.8일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일수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은행, 증권회사 등에서 여름휴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주5일 근무제를 도입했기 때문으로 경총은 분석했다.
휴가일수별로는 4일간 휴가를 실시하는 기업이 36.1%로 가장 많고 5일 35.3%, 3일 15.1%, 6일 11.8% 등이었다.
휴가시기는 ‘8월 초순’이 39.3%, ‘7월 하순’이 30.3%인 것으로 각각 집계됐으며 ‘분산 실시’라고 답한 기업은 24.8%를 차지했다.
하계휴가를 실시하는 기업중 49.3%가 휴가비를 지급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으며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중 휴가비를 지급하는 기업의 비율이 53.7%로 작년(43.1%)에 비해 늘어난 반면 중소기업은 42.9%로 지난해(64.6%)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하계휴가비를 지급하는 기준을 보면 75.7%가 정액으로, 18.9%는 기본급으로, 6.6%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지급할 계획이며 정액 지급 기업들의 경우 평균 휴가비는 29만5천원으로 작년의 28만8천원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정액기준 하계휴가비를 내역별로 보면 20만~30만원이 35.1%로 가장 많았으며, 10만~20만원 31.6%, 30만~40만원 26.2% 등이었다.
경총은 "경기불황속에서도 휴가비를 감액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3.6%에 불과했다"며 "이는 휴가비가 기업성과 변동에 따르지 않고 단협.취업규칙 등에 의해 고정급화 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