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 9월 25일 발표한 기초연금 도입 방안의 후속조치로 진행된 기초연금법안과 장애인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11월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기초연금법안은 지난 10월 2일 입법예고된 법률안을 기본으로 그간 제기된 의견들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법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7월부터 65세이상 노인에게 지급할 기초연금액의 최소값 10만원과 최대값 20만원 등을 명시, 최종 확정지었다.
이는 기초연금제도의 핵심 사항을 하위 법령에 위임하여 행정부에 과도한 재량을 부여했다는 의견을 수용한 것이다.
또한 매 5년마다 시행하는 기초연금 적정성 평가에서는 물가상승률 외 수급자의 생활수준, 국민연금 가입자 평균 월 소득 변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하였으며, 노인 빈곤 실태조사도 함께 실시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입법예고 때 발표된 것과 같이 기초연금 수급자의 사후관리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기초연금의 지급 정지와 관련하여 해외체류기간을 종전 기초노령연금의 180일 이상 지속에서 60일 이상 지속으로 단축 시켰으며,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기초연금을 지급받는 경우 이자를 가산하여 환수하도록 하였다.
한편, 10월 2일 입법예고한 장애인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 역시 제도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기초연금법안 수정·보완 사항에 맞춰 일부를 보완되었다.
장애인연금의 기초급여액을 ‘ 기초연금의 기준연금액이 5년마다 적정성 평가 후 조정·고시된 금액’ 과 자동적으로 연계토록 하였고 애매하게 표현되었던 기준연금액 ‘ A값의 10%에 상당하는 금액’ 을 ‘ 20만원’ 으로 규정, 명시했다.
금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기초연금법안 및 장애인연금법 일부개정 법률안은 대통령 재가를 거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