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이번 정부 내에서 여성 경력단절이 없어지도록 한다는 목표를 갖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현 부총리는 이날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을 찾아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 및 채용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우리나라 여성 고용의 가장 큰 특징은 30대 이후 임신ㆍ출산ㆍ육아를 거치면서 고용률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여성 경력단절을 해소하는 것은 여성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성 경력단절을 예방하고자 △시간제 보육 등 맞춤형 보육 서비스 제공 △어린이집 평가인증제 강화 △초등학생 방과 후 돌봄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적극 지원 등 보육ㆍ돌봄 체계를 바꿔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경제단체ㆍ기업들과 함께 지원하는 '리턴십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여성들의 다양한 수요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출산 이후 3년과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이후 1년 등 출산ㆍ육아가 집중되는 4년이 경력단절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시기"라면서 "정부는 이 시기에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