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제치고, 미국에 이어 2위 올랐을가능성 있어
작년 한국 업체들의 세계 반도체시장(칩 판매액 기준) 점유율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선 것으로 보인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반도체협회와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를 인용해 이같은 결과를 밝혔다.
2013년 세계 반도체 칩 판매액은 3천179억 달러로 이중 우리나라는 15.8%(501억 달러)를 차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일본(13.9%)을 제치고 미국(52.4%)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김정일 산업부 전자부품과장은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반도체 개발에 나선 지 약 30년 만에 그동안 넘을 수 없던 벽으로 느꼈던 일본을 앞섰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반도체 칩 종류별로 보면 메모리는 2010년 49.8%에서 2013년 52.7%로, 시스템반도체는 2.9%에서 5.0%로, 기타 소자는 7.4%에서 10.4%로 각각 증가했다.
한편 일본은 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을 급격히 잃고 모바일용 반도체 등 새로운 시장 수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세계시장 점유율이 15% 밑으로 추락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분야에 치중해 발전한 면이 있다며, 시장 규모가 메모리 반도체의 약 4배인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도 큰 관심을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반도체 장비·소재 국산화율을 높이는데도 국내 업체들이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2012년 반도체 장비,소재의 국산화율은 각각 20.6%, 48.5%였다.
산업부는 "작년 10월 마련한 반도체 산업 재도약 전략을 중심으로 고부가 반도체 개발, 핵심 장비·소재 국산화, 해외시장 개척 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