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년 16만2천대 수거완료, 국민 배출수수료 21억원 절감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이 지난해 5월 서울시·대구시 등 6개 광역시·도에 시범 도입된 이후 이용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6개 광역자치단체 및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와 공동으로 ‘2013년도 무상 방문수거사업’을 실시한 결과, 냉장고·세탁기 등 총 16만 2,000여대(중량기준 7,457톤)의 폐가전제품을 수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 결과, 콜센터 등 예약접수 건수는 총 12만 7,000여건, 이용에 따른 국민의 배출수수료(배출스티커) 절감분은 약 21억 원 가량으로 산정됐다.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콜센터에서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무상 방문수거사업 이용자 총 8,601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한 결과 99.6%(8,566명)가 이번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무상 방문수거사업은 소비자가 온라인이나 콜센터를 통해 TV·냉장고·세탁기 등 고장난 대형가전제품의 배출을 예약하면 수거전담반이 가정에 방문하여 무료로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제도다.
종전에는 폐가전제품 제품을 버리려면 관할 지자체에서 최저 3,000원에서 최대 1만 5,000원까지 하는 배출스티커를 구입해 부착하여 집 밖에까지 내놓아야 하는 등 국민들의 불편이 컸다.
또한 수거된 폐가전제품의 경우 재활용센터로 전달되지 않고, 희귀금속이 포함된 일부 핵심부품만 불법적으로 빼내어 판매하거나 해외로 반출되는 등 자원유출 및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했다.
* 종전 지자체 회수 가전제품 원형보존률 5% 미만 → 방문수거사업 후 원형보존률 95% 이상
이에 따라 환경부는 국민불편 해소와 수거·재활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12년 6월 서울시에 한해 무상 방문수거 시범사업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5월 대구·대전·부산·광주광역시 및 경기도가 참여해 사업이 확대됐다.
수거실적은 지자체별로 서울시 9만 1,174대(56%), 부산시 3만 231대(19%), 대구시 1만 7,616대(11%), 경기도 1만 1,221대(7%), 대전시 6,752대(4%), 광주시 5,611대(3%) 순이다.
품목별로는 TV 6만 9,444대(42%), 냉장고 4만 5,106대(28%), 세탁기 1만 928대(7%) 등이다.
또한, 방문수거실적을 종전 2012년도 지자체 회수실적과 비교해 보면 지자체별로 약 1.5∼6배 가량 회수실적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사업이 성공할 경우 국가 재활용목표*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전기·전자제품 1인당 재활용 목표 : 3.9kg/인(‘14) → 6.0kg/인(’18)
2013년도 폐가전제품 수거량(16만 2,604대)을 자원 재활용 및 폐기물 매립 대체 비용 등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할 경우 약 147억 원에 달하며, 수거전담반 및 콜센터 등 신규일자리 50명 창출, 온실가스 감축량은 약 2만 5,000톤CO2에 이를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폐가전제품 수거량은 33만대(1만 5,000톤), 배출수수료 40억 원, 경제적 편익 300억 원의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같이 큰 호응과 실적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부터 모든 지자체에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