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유망지역 스트리트형 상가가 잇따라 공급되어 이목
경기회복의 기대감이 커지면서 모처럼 상가시장에 훈풍이 불 전망이다. 상가투자도 과거 시세차익형에서 최근 안정적인 임대수익형으로 트렌드가 바뀌면서 과연 어느 지역이 배후세대가 확보되어 매달 고정적인 수익을 가져다 줄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가투자를 하려면 긴 안목을 가지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수적인데 최근 유망지역에 스트리트형 상가가 잇따라 공급되어 이목을 끌고 있다.
스트리트형 상가는 여러 가지 잇점을 지녀 최근 인기가 높은데, 그 예로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 경기도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 판교 아브뉴프랑 등이 대표적이다.
일명 거리형 상가로도 불리우는 스트리트형 상가는 강남역, 합정역, 왕십리과 같은 도심은 물론 마곡, 판교, 위례 등 신도시나 택지지구에도 속속 공급이 되거나 예정에 있다.
과거 상가는 동선을 수직으로 배열해 집합체를 구성하는 박스형 고층 형태가 주류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상품 구성보다는 상가 입지나 가격조건이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와 달리 스트리트형 상가는 동선을 따라 1~2층짜리 저층위주로 상가를 배치한다. 소비자 체류시간을 늘림으로써 유동인구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주변 유동인구를 잠재 고객으로 흡수하기 쉽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유리하다. 유동인구가 늘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주목 받기도 한다.
그러나 아무리 스트리트형 상가가 주목을 받는다고 해도 투자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무엇보다 상권이 단절된 곳이나 차량의 흐름이 빠른 흘러가는 상권에 대한 투자는 피해야 한다.
스트리트형 상가는 저층부와 상층부, 전면과 후면 등 위치별 가치가 다르고 동별 연결고리나 특색이 없으면 임차인이나 소비자들의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무늬만 스트리트형 상가인지 꼭 따져봐야 한다.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장경철 이사는 “기존 수요층이 두껍지 않고 신규 수요자들도 늘지 않으면 투자 수익을 낼 수 없기 때문에 규모가 큰 단독 상권이라면 배후 수요와 도보로 유입이 용이해 인접 수요의 유입도가 좋은 지 등을 꼼꼼히 체크한 뒤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부동산 정보회사인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에 따르면 수도권 분양(예정)중인 주요 스트리트형 상가로 경기 하남 풍산동 하남 수산물복합단지, 서울 강남 역삼동 강남역 센트럴애비뉴, 송파 위례신도시 송파 와이즈더샵, 송파 문정지구 H-Street, 왕십리뉴타운 2구역 텐즈힐몰 등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