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교육청-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청소년 노동인권보호 업무협약 체결
비정규직노동지원센터[뉴스21일간=임정훈]울산시 교육청과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2일 오후 2시, 울산시 교육청에서 천창수 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노동 인권 보호와 노동 침해 예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를 포함한 울산북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
|
농촌진흥청은 ‘식물계의 황소개구리’로 불리는 외래잡초 ‘가시박’이 농경지로 유입돼 피해를 줌에 따라 확산 방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적극적으로 없앨 것을 당부했다.
가시박(Sicyos angulatus L.)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농작물의 영양분을 빼앗아 가며 덩굴줄기 아래의 농작물은 광합성을 할 수 없어 말라죽게 된다.
농촌진흥청 2008년 보고에 따르면, 그동안 가시박은 도로변(46%), 강·하천변 (24%), 농사 짓지 않는 땅(18%), 밭 주변(8%), 주택가(4%) 순으로 농경지에 직접 발생한 경우는 미미했다.
또, 우리나라에는 가시박으로 인한 작물별 피해상황은 조사된 바가 없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옥수수밭에 10㎡당 가시박 15개체∼20개체가 발생하면 수확량이 80% 줄고, 28개체∼50개체가 발생하면 수확량이 90%∼98% 준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경기 안성의 인삼밭과 옥수수밭, 경북 안동의 논에 가시박이 침입해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빠른 시간 안에 확산을 막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시박은 도로변, 강·하천을 따라 1차 확산된 후 인근 지역(농경지)으로 2차 확산되므로 빨리 걷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종자가 익기 전인 8월 하순부터 10월 초까지 덩굴줄기를 없애거나, 원줄기 밑둥치를 낫 등으로 잘라내야 이듬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가시박 확산 방지를 위한 홍보 책자를 긴급 제작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배포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이인용 연구관은 “가시박은 강물이 넘칠 때 주변 농경지에 침입할 가능성이 높은 외래잡초 중 하나다.” 라며, “가시박은 눈에 보이는 대로 줄기를 걷어내야 확산도 막을 수 있고 다음해 발생도 줄일 수 있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