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산 생태관광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최종보고회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 울산시는 11월 14일 오전 10시 시청 1별관 3층 중회의실에서 ‘울산 생태관광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울산광역시 생태관광활성화 및 지원조례」에 따라 4년마다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본계획(2026∼2029) 수립에 따른 논의를 위해 ...
|
농촌진흥청은 재래돼지와 두록 종을 이용해 개발한 합성씨돼지를 현장 적응과 생산성 검증을 위해 농가에 추가 보급한다.
합성씨돼지는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품종을 교배, 집단을 폐쇄시켜 육종해 낸 종돈(種豚)으로 품종 간 잡종강세 능력을 보유하며, 농촌진흥청에서는 20여 년에 걸쳐 복원한 고유토종 재래돼지와 개량종인 ‘축진듀록’을 교배해 5년에 걸친 계획교배로 재래돼지의 혈액 비율이 38% 정도 유지되도록 육성했다.
토종 재래돼지는 일반 개량종 돼지에 비해 근육 내 축적된 지방이 많아 고기 맛은 좋은 편이나, 새끼수가 6마리~8마리로 일반개량종 10마리~12마리보다 적다. 또, 성장속도도 느려 경제성이 떨어진다.
합성씨돼지 수컷의 90kg 도달일령은 148일로 재래돼지(209일)의 140%, 성장형질이 뛰어난 두록(130일) 품종에 비해 88% 수준이다.
등심의 근내지방 함량은 4% 정도로(재래돼지 4.38%, 두록 3.03%) 재래돼지의 장점은 최대한 살리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합성씨돼지는 2012년부터 해마다 시범 농가를 선정해 보급하고 있으며, 올해는 5농가에 29마리(어미돼지 25마리, 수퇘지 4마리)를 보급한다.
농촌진흥청은 보급 이후 합성씨돼지 현장 적응 성적을 바탕으로 농가 상황에 맞춘 사료급여 차이와 농가가 보유한 다른 품종과의 성장, 육질특성 등을 비교 조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합성씨돼지에 적합한 관리방법을 찾아내 개량하는 한편, 기존 개량돼지에 비해 낮은 경제성을 보완해 소비자가 원하는 육질 좋은 새 계통을 육성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박준철 양돈과장은 “농가의 합성씨돼지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라며, “양돈 선진국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는 차별화 전략도 함께 마련하겠다.” 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