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폐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노영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청주 흥덕)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해 대전, 충남‧북 등 6개 시‧도 폐광산 주변지역의 기초환경을 조사했는데 조사광산 130곳 중 44곳(34%) 주변 토양과 하천의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44개 폐석탄광산 중 50%인 22개가 충북·충남에 집중돼 있다.
토양기준 초과물질은 구리(Cu), 납(Pb), 아연(Zn), 카드뮴(Cd), 비소(As) 등 9개 중금속으로 나타났으며, 30개 광산에서 발암물질인 비소가 포함된 중금속이 토양오염우려기준 25mg/kg을 초과해 주변지역 주민의 피해가 심각하게 우려된다.
실제 9곳이 기준을 초과한 충북의 경우 보은군 부국광산 인근 밭에서는 비소가 57.7㎎/㎏으로 우려기준 25㎎/㎏의 2.3배를 초과했고, 청원군 태우광산 갱내수는 카드뮴이 0.2㎎/l로 10배 초과, 아연은 16.6㎎/l로 16.6배 초과, 니켈은 3.5㎎/l로 35배 초과, 철은 20.7㎎/l로 10.35배 초과했다.
카드뮴, 구리, 납 등 중금속이 인체에 들어올 경우 배출이 쉽지 않고, 체내에 축적돼 심각한 독성을 유발하며 위장장애, 빈혈, 구토, 신경장애, 피부발진, 간질병 등 각종 질병 유발의 원인으로 알려졌다.
비소의 경우 발암물질로 지목되고 있다.노 의원은 “조사 결과를 보면 광산 주변 토양 및 갱내수의 중금속오염이 매우 심각한데 특히 우려기준을 초과한 44개 광산의 경우 사람의 건강 및 재산과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면서 “하지만 광해관리공단은 해당광산과 인근 토양 및 하천에 대한 광해방지사업 계획조차 세우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이어 “전국 휴‧폐광산의 광해방지사업에 대한 실현가능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