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자동차등록대수가 2천만 대를 돌파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30일 오전 11시에 자동차 등록제도 원년인 1945년에 불과 7천여 대에 불과하였던 자동차등록대수는 눈부신 경제성장과 국민소득 증가에 힘입어 1945년이후 70여 년 만에 무려 2,700배가 증가한 20,002,967대를 기록했다 고 밝혔다.
이로써 자동차 1대당 인구수는 1946년의 2,127.1명(’46년 인구 19,369,270명)에서 2014.10.30일 현재 2.56명으로 크게 낮아졌다.
자동차등록대수가 2천만대를 넘어선 것은 전 세계적으로 15번째이며 아시아에서는 일본(1972), 중국(2002), 인도(2009)에 이어 4번째이다.
자동차등록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용차 1,563만8,000여대, 승합차 95만2,000여대, 화물 3백3만여대이다.
연령별 자동차등록현황을 보면 사회 초년생인 20대와 30대는 현대 아반떼를, 40대부터는 현대 쏘나타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생계형 자영업의 창업자 증가와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은퇴로 40대부터 70대까지의 연령대에서 현대 포터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연료별 자동차등록현황은 휘발유는 9백6십만 대, 경유는 7백8십만 대, 엘피지는 2백4십만 대이며,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는 각각 13만 대 및 2천5백 대에 달한다.
하이브리드는 2008년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6년여 만에 약 3.6배 증가했다.
가구별 자동차등록현황을 보면 지난10월 기준으로 자동차 1대당 2.56명으로 가구별 자동차 보유대수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차등록대수가 2천만 대를 넘어섬에 따라 자동차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한층 더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