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중구, 동천강변 공영주차장 조성 추진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동천강변(남외동 964번지 일원)에 공영주차장을 조성한다. 이번 사업에는 울산시 특별조정교부금 6억 원과 한국공항공사 소음 지역 주민지원사업비 3,700만 원 등 6억 3,700만 원이 투입된다. 주차장은 총 3,150㎡ 규모로, 중구는 기존 임시 주차 공간 부지 2,084㎡와 농구장 부지 820㎡를 합쳐 2,9...
|
평균 근로시간이 출산 후 맞벌이를 원하는 여성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 여성들의 재취업 활성화를 위해 근로시간 단축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파인드잡이 20대 이상 기·미혼여성 1,203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현실과 희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출산 후 희망 근로시간은
주간 평균 24.1시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주간 평균 근로시간(40시간)의 약 65.9%수준으로, 대부분의 여성이 하루(일 평균 8시간기준)에 5시간 정도의 근무를 희망하고 있는 셈이다.
세부적으로는 ‘9시간 미만’이 32.1%로 1위를 차지, 일 평균(주5일 기준) 2시간 미만의 근로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이어 ▲ 27~36시간(23.8%), ▲ 36~46시간(21.4%), ▲ 18~27시간(13.4%), ▲ 9~18시간(7.5%)순이었다.
이외 ‘46~54시간’과 ‘54시간 이상’ 장시간 근무에 대한 응답률은 각각 1.5%와 0.2%로 미미했다.
맞벌이 찬성여부에 따라서는 맞벌이 찬성자는 주당 24.3시간의 근로시간을 희망하는 반면, 반대자는 19.0시간으로 약 5.3시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간 평균 근로시간(40시간)과 비슷한 수준인 ‘36~46시간’의 근무에 대해 맞벌이 찬성자(22.7%)가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9시간 미만’에 대해서는 맞벌이 반대자(44.4%)가 더 강한 선호도를 나타내 대비를 이뤘다.
또한 출산 계획이 있는 여성은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출산 계획이 없는 여성은 일반 정규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2명의 자녀를 계획하는 여성의 경우 시간 선택제 일자리의 주간 평균시간(주 평균 약 25.8시간)과 비슷한 ‘27~36시간’(26.6%)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대로 무자녀를 계획하고 있는 여성은 주간 평균 근로시간인 ‘36~46’시간'(25.0%)에 응답률이 더 높았다.
이와 함께 출산 후 근무를 위해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30.2%가 ‘출산 장려금 및 육아 휴직제도 보장’을 1위로 꼽았다.
이어 ▲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기회 확충(18.4%), ▲ 근로시간 단축(13.7%), ▲ 보육서비스 확충(12.6%), ▲ 시간선택제 일자리 증가(10.0%)였으며, ‘남편의 육아 확대장려’와 ‘아이는 엄마가 돌봐야 한다는 선입견 타파’는 7.5%로 공동 6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