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중구, 동천강변 공영주차장 조성 추진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동천강변(남외동 964번지 일원)에 공영주차장을 조성한다. 이번 사업에는 울산시 특별조정교부금 6억 원과 한국공항공사 소음 지역 주민지원사업비 3,700만 원 등 6억 3,700만 원이 투입된다. 주차장은 총 3,150㎡ 규모로, 중구는 기존 임시 주차 공간 부지 2,084㎡와 농구장 부지 820㎡를 합쳐 2,9...
|
빠른 퇴사율과 더불어 적합한 인재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채용 문제 해결을 위해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재정적 지원 확대가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10人 이상 중소·중견기업 290社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5 중소·중견기업 채용계획 및 인식 조사’ 결과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했던 직원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2.4년’으로 30대 그룹 계열 대기업 근속년수인 9.7년(CEO스코어 조사 결과)의 약 4분의 1수준으로 다소 퇴사 주기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중견기업 취업자의 근속년수 분포도를 살펴보면 ‘1년 이내’(27.9%)구간에 가장 집중되었으며, 이어 △‘2년 이내’(20.0%), △‘3년 이내’(16.6%), △‘6개월 이내’(16.2%), △‘5년 이내’(9.7%)순으로 주로 단기간 구간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단기 퇴사로 인한 채용문제가 중소,중견기업에게 골치거리로 여겨질 수 있는 가운데, 채용 시 가장 힘든 부분은 직무능력을 갖춘 ‘적합한 인재의 부재’가 38.3%의 최고수치로 1위에 올랐다.
또한 ‘희망 연봉과 지급 가능 연봉액의 차이’(29.7%)와 ‘높은 중도 퇴사 율’(21.0%) 역시 높은 수치로 각각 2,3위에 오르며 채용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그밖에 4위 ‘회사 문화 및 조직 시스템에 부적응’(9.3%), 5위 ‘신규 입사자를 위한 사내 기반시설 부족’(1.7%)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중소,중견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절반 가까이되는 46.9%가 임금비용 지원과 같은 ‘금전적 지원’이라 답해 상당수의 중소,중견기업에서 재정상의 부담감으로 채용계획을 머뭇거리고 있음이 추측됐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규모별 임금 및 근로조건 비교 보고서에도 확인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가 2004년 95만 7천원에서 10년 후인 2014년 155만 8천원으로 더 크게 벌어지고 있어 금전적 어려움이 중소,중견기업 채용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다.
이어서 중소,중견기업 취업 활성화를 주요 방안으로 △2위 ‘중소,중견기업 취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강화’(17.6%), △3위 ‘회사 기반시설 및 무료건강검진 등의 복지 지원’(11.4%), △4위 ‘직업훈련과 같은 교육적 지원’(9.7%), △5위 ‘기업에 적합한 인재 매칭 프로그램 운영’(8.3%), △6위 ‘우수기업인증 및 기업홍보 지원’(6.2%)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