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일 후 ‘예술 품은 신비의 섬’ 만난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충남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
지난 2012년 19대 총선 공천과정에서부터 새누리당의 주류로 올라섰던 친박(친박근혜)계가 4·13 총선 참패에 따라 해체 직전의 위기에 처했다.
친박계는 지난 2007년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대선후보 경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 참여했던 인사들을 주축으로 탄생해 2012년 박 대통령 당선으로 전성기를 맞았으나, 20대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위기에 몰렸다. 총선 패배의 책임이 공천을 주도했던 친박계로 집중되는 데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이에 따라 친박계가 뿔뿔이 흩어져 각자도생(各自圖生)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옛 친이(친이명박)계와 마찬가지로 해체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당장 현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지낸 친박계 중진 유기준 의원이 친박계 신좌장으로 불리는 최경환 의원의 만류를 뿌리치고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게 이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장면이다. 비록 유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 기자회견에서 밝힌 ‘탈(脫)계파 선언’이 ‘탈박 선언’이냐는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고 뒤늦게 해명했지만, 해체 직전의 위기에 처한 친박계의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