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
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로 내려왔다.오늘(18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4,000선 아래로 내려온 건 지난 7일 이후 7거래일 만에 처음.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지만, 이후 꾸준히 낙폭을 확대해 한때 3,953.26까지 밀...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교실, 울산교육의 수업 혁신을 이끄는 교사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과 배움을 최우선’ 목표로, ‘학생 중심 배움 수업’을 적극 장려하며 교실에 활기찬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도전하며 아이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는 현장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있다. 학생이 수...
▲ 직장인들은 32억이 있으면 부자라 답했다(사진제공: 잡코리아)지난해 동일 조사결과(40억 있어야 부자)에 비해 부자의 기준에 대한 눈높이가 많이 낮아진 것이다. 직장인들은 본인의 재산 증식에 가장 방해가 되는 지출비용으로 ‘식생활비’를 꼽았다. 엥겔지수(가계 지출 총액 중 식비가 차지하는 비율)가 높아 재산을 모으지 못하는 직장인들이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478명을 대상으로 ‘부자의 기준’에 대해 조사했다. ‘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라는 질문에 전체응답자 평균 ‘32억’으로 집계됐다. 금액 구간별로는 50억(26.2%) 있어야 부자라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고, 이어 10억(25.7%) 30억(12.1%) 20억(10.5%) 순으로 많았다.
‘평생 본인은 얼마를 모을 수 있을 것 같은가’ 라는 질문에는 전체응답자 평균 ‘10억’으로 집계됐다. 금액 구간별로는 5억(16.7%), 10억(16.5%)이 가장 많았고, 이어 1억(14.2%) 3억(11.5%), 2억(10.7%) 순으로 많았다.
직장인들이 재산을 모으는 방법 중에는 무조건 현금을 모으는 ‘예/적금’이 응답률 49.2%로 가장 많았으나, ‘복권/로또를 산다’는 직장인도 41.0%로 많았다. 이외에는 ‘이직을 한다(26.4%)’거나 ‘펀드/주식을 한다(14.2%)’는 직장인이 많았다.
그러나 ‘올해 모으려고 한 목표금액을 다 모았나’ 라는 질문에는 ‘이미 모았다(2.9%)’거나 ‘조금 더 모으면 다 모은다(18.2%)’는 응답자는 21.1%에 그쳤고, 78.9%는 ‘못 모을 것 같다’고 답했다.
많은 직장인들이 ‘본인의 재산증식에 가장 방해가 되는 지출비용’으로 ‘식생활비(62.3%)’를 꼽았다. 가계지출 중 식생활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엥겔지수가 높아 재산을 모으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10명중 6명에 달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주거비/대출이자/원금상환(33.9%), 의복비(21.1%) 여행/문화생활비(20.9%), 자녀육아/교육비(16.9%) 순으로 높았다
한편 직장인들은 재산을 모으기 위해 가장 도움되는 방법으로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는 것(51.0%)’과 ‘자금을 용도별(생활비/저축/경조사비 등)로 관리하는 것(50.8%)’을 꼽았다.
그 외에는 ▲틈틈이 경제기사를 보고 최근 정보를 찾는 것(28.0%)과 ▲부동산/주식 등 투자형 재테크를 조금씩 하는 것(27.6%)과 ▲무조건 안 쓰고 모으는 것(25.3%) 순으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