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지난 12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국내외 금융시장에 별다른 영향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13일 오전 8시 기획재정부 이찬우 차관보 주재로 가진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 회의에서 정부와 관계기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관련 해외시각과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그에따른 대응방향 논의에 나섰다.
당국은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시장이 열리지 않은 주말에 이뤄진 만큼, 금융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과거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과 같은 북한 도발 당시 국내 금융시장 등에 미친 영향 역시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지난해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당시 금융시장 반응을 살펴보면 핵실험 직후 이틀 간 72pt 하락한 주가는 이후 상승세로 전환해 6 거래일 이후 이전 수준을 회복한 바 있다.
2거래일 동안 7bp 상승한 금리 역시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고, 환율은 5거래일에 걸쳐 28원 상승했지만 이 역시도 하락세로 전환됐다.
금융당국은 그러나 "미 신 정부 출범에 따른 세계 정치와 경제질서 변화의 가능성과 국내 정치상황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 유이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첫 도발이 이뤄진 만큼 관련국 대응에 따라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에따라 정부와 관계기관은 대내외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해 '관계기관 합동점검반'을 구성하고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해 국내외 금융 및 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에 나서기로 했다.
또 '범정부 비상경제대응 TF'와 '경제현안점검회의' 등을 수시로 개최해 금융·실물경제 리스크요인 점검에 나서는 한편 외국인투자자와 외신, 신용평가사 등과 소통 강화를 통한 투자심리 안정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