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
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로 내려왔다.오늘(18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4,000선 아래로 내려온 건 지난 7일 이후 7거래일 만에 처음.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지만, 이후 꾸준히 낙폭을 확대해 한때 3,953.26까지 밀...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교실, 울산교육의 수업 혁신을 이끄는 교사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과 배움을 최우선’ 목표로, ‘학생 중심 배움 수업’을 적극 장려하며 교실에 활기찬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도전하며 아이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는 현장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있다. 학생이 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성 규제로 사실상 '전면 마비' 상태에 빠진 중국 현지 롯데마트의 영업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운데, 재계에서는 롯데의 유통부문이 아예 중국 사업을 접을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미 '사드 사태' 이전부터 '현지화' 실패로 한 해 수 천억 원의 적자를 내고 있었기 때문에, 롯데마트와 롯데백화점도 앞서 이마트와 마찬가지로 중국 철수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예상이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성 규제로 사실상 '전면 마비' 상태에 빠진 중국 현지 롯데마트의 영업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운데, 재계에서는 롯데의 유통부문이 아예 중국 사업을 접을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미 '사드 사태' 이전부터 '현지화' 실패로 한 해 수 천억 원의 적자를 내고 있었기 때문에, 롯데마트와 롯데백화점도 앞서 이마트와 마찬가지로 중국 철수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예상이다.
롯데는 현재 중국에서 약 120개 유통 계열사 점포(백화점 5개·마트 99개·슈퍼 16개)를 운영하고 있다. 이런 중국 현지 롯데 유통 계열사들의 연 매출이 2조5천억 원에 이른다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해마다 1천억 원 안팎의 적자를 보며 '밑지는 장사'를 하는 게 현실이다.
롯데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사업에서 롯데백화점은 830억 원, 롯데마트가 1천240억 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각각 냈는데, 이 적자 가운데 80~90%가 중국 사업에서 발생했다.
앞서 2015년에도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의 해외 영업손실은 각각 1천50억 원, 1천480억 원까지 불어났다.
롯데마트가 2008년부터, 롯데백화점이 2011년부터 중국에 진출한 지 거의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자리를 잡고 흑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롯데마트는 중국 사업 과정에서 타임즈, 럭키파이 등 현지 유통업체를 인수했으나 당시 지불한 '영업권' 가치가 중국 경기 하강 등과 더불어 급감하면서 장부상으로도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각각 1천600억 원, 3천400억 원의 대규모 손실을 봤다. 무려 6천억 원에 이르는 '영업권 손상 차손'이다.
이처럼 해마다 수천억 원씩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운데 '사드 보복'까지 겹치자, 일각에서는 롯데 유통 사업부문이 중국에서 철수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그냥 놔둬도 한 해 수 천억 원의 적자를 내는데, 이번 사드 보복으로 영업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이니 수익성뿐 아니라 매출 타격이 매우 클 것"이라며 "불매 운동과 규제 기간이 길어지면 더 버티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롯데 관계자는 "다른 업종의 계열사들도 중국에서 계속 사업을 해야 하는 만큼, 롯데 유통부문이 당장 적자를 본다고 쉽게 중국을 떠날 수는 없다"고 사업 '축소·철수'설을 부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