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유치원, 유·초 이음교육 기반 창의예술 협력활동 마무리 행사 운영
호암유치원(원장 이규순)은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협력하여 유아들이 다양한 창의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2025년 한 해 동안 유·초 이음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유아가 좋아하는 문화예술 체험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높이고, 자연스러운 전이를 돕고자 본 프로그램의 주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5일 “내수, 특히 위축된 소비를 회복시키려면 무엇보다 일자리 창출을 통해 소득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근본적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는 대내외 여건이 녹록잖은 상황에서도 수출 호조에 힘입어 완만하나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그간 움츠러들었던 가계와 기업의 심리도 조금씩 호전되는 기미가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를 이끄는 수출의 향후 여건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해지고 있어서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권구훈 골드만삭스 전무 또한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에 대해 걱정하는 부분은 보호무역주의와 지정학적 리스크(위험)”라며 “좋아지는 수출이 내수와 어떻게 연결될지, 얼마나 지속될지에도 관심 둔다”고 전했다.
이에 이 총재는 “내수 기반이 튼튼해야 하고 그러려면 소비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2000년대 이후 제조업에서는 일자리가 계속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에선 그 이상의 일자리가 생기는 구조”라며 “일자리 창출은 이제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주도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비스업은 영업제한 진입장벽 등 경쟁을 제한하는 규제가 너무 많아 이를 푸는 것이 긴요한 과제”라며 “(이런 과정이) 생각만큼 빨리 진전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엔 권 전무와 함께 김세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백웅기 한국개발연구원(KDI) 수석 이코노미스트, 이인형 한국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 임지원 JP모간 전무 등이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