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유치원, 유·초 이음교육 기반 창의예술 협력활동 마무리 행사 운영
호암유치원(원장 이규순)은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협력하여 유아들이 다양한 창의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2025년 한 해 동안 유·초 이음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유아가 좋아하는 문화예술 체험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높이고, 자연스러운 전이를 돕고자 본 프로그램의 주제...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은 다음 주로 미뤄졌다. 대우조선 회사채 약 3900억원어치를 갖고 있는 국민연금이 6일 “전날 열린 투자위원회 결과 (대우조선 구조조정 방안과 관련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이날 “지난달 23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방안’과 관련하여 투자관리위원회와 투자위원회를 거쳐 그동안 확인된 내용을 기반으로 신중하게 검토했다”며 “그러나 투자회사가 처한 재무상태와 기업계속성 등에 대한 의구심이 있어 현 상태로는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채무조정안 수용 여부 등에 대해 투자위원회를 통해 다음 주까지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국민연금은 채무조정 대상 회사채 1조3500억 원 중 약 29%인 3887억원을 보유한 사채권자로 오는 17일과 18일에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까지 채무조정안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 한편 대우조선해양 경영진과 노동조합은 전 직원 임금 10% 삭감과 무분규를 약속하는 합의안에 6일 서명했다.
대우조선은 이날 경영정상화까지 전 직원 임금 10% 추가 반납, 생산 매진을 위한 노사 교섭 잠정 중단, 노조의 수주활동 적극 지원, 기존 채권단에 제출한 노사확약서 승계(무분규 약속) 등 4가지 사항이 포함된 합의서를 발표했다.
앞서 급여 전액을 반납해 온 정성립 사장과 함께 임금 10%를 삭감한 임원들은 이달부터 10%를 추가 반납하기로 했다. 대우조선 측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여론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채권단 지원의 전제 조건인 구성원들의 고통 분담 요구를 조건 없이 약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 흑자 전환에 실패하면 대표이사인 정 사장이 사퇴하고 임직원 전원이 연대해 책임을 지기로 했다.
노동조합과 경영진은 2015년 4조2000억원 지원을 하고도 2조9000억원을 추가 지원한 결정에 대해 사과와 고마움도 표했다. 정성립 사장은 “지난 2015년 10월 채권단으로부터 4조2000억원의 지원을 받았지만 결국 또다시 손을 벌리고 말았다. 회사 최고책임자로서 큰 책임을 느끼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2015년과 달리 이번엔 단기적 유동성 문제”라며 “이번 지원만 이뤄지면 대우조선은 작지만 단단한 회사로 재탄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