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11일 '4월 북폭설' 등 최근 제기되는 각종 한반도 위기설에 대해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최우선으로 놓고 대응할 것"이라며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할 경우 결코 용납지 않고 단호히 대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미동맹에 기반해 모든 상황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황교안 권한대행 총리께서 오늘 국무회의에서 말씀하셨듯 현상을 냉철히 직시하고 대처해야 한다"며 "너무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다"고 당부했다.
다만 정부가 말하는 '단호한 대처'가 경제적 제재에 국한되는지, (군사적) 행동까지 포함되는지 묻는 질문엔 "여러 가능성이 있다"며 "평화와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되 북한 도발에 상응하는 단호한 대처를 해나갈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각종 전쟁 관련 '찌라시'에 대해 "사실과 다른 내용의 가짜뉴스를 전파하는 것, 특히 SNS를 통해 불안을 만들어내는 것은 위험하다. 4월이란 시점에 특히 자제해야 한다"며 "국민 대부분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일부에서 만든 가짜뉴스는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게 좋겠다"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국민들의 전쟁 불안심리를 해소하기 위해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는 "어제 장관이 언급했듯 기본적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고 그것을 위해 한미동맹과 중국 등과 협의해나간다는 입장"이라며 "일부 불안심리를 가라앉히기 위해 정부가 나서서 많은 말을 하는 게 좋지 않고 상황을 냉정히 보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지 특별한 발표를 할 시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 김일성 생일 등 기념일이 몰린 축제기간에 한국과 미국, 중국이 북한을 압박해 도리어 북한을 자극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엔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북한은 이것이 북침 준비라고 받아들여 예민하게 반응해 긴장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며 "그러나 76년부터 한미훈련을 진행하며 일관되게 밝혔듯 이것은 기본적으로 공격용이 아니라 방어용이고, 대한민국과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미 연합훈련은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처하는 차원으로, 북한 도발을 막는 데 초점이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가 미국과 함께 북한의 축제 분위기를 해친다는 건 거꾸로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