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유치원, 유·초 이음교육 기반 창의예술 협력활동 마무리 행사 운영
호암유치원(원장 이규순)은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협력하여 유아들이 다양한 창의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2025년 한 해 동안 유·초 이음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유아가 좋아하는 문화예술 체험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높이고, 자연스러운 전이를 돕고자 본 프로그램의 주제...
국내 소매유통업체들의 2분기 경기전망이 8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에 대한 우려로 전통적인 성수기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진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과 6개 광역시의 1000여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Retail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기준치 100에 미달한 90을 나타냈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2분기 기준으로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가 남아있었던 2009년 2분기(75) 이후로 가장 낮은 수치다. 2분기 기준으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013년(98)을 제외하면 모두 100을 넘었다. 1분기와 비교해 1포인트 상승했지만 8분기 연속으로 기준치를 밑돌았다.
대한상의의 경기전망지수는 기업들이 예상하는 다음 분기 경기 전망을 지표화한 것이다. 100을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적 보복이 이어지면서 유통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정부는 중국인의 한국관광을 제한하거나 현지에서 한국 제품의 통관을 거부하고 매장의 영업을 정지하는 등 방식으로 보복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그룹의 경우 중국 롯데마트 99개 지점 가운데 90%가 문을 닫는 등 그룹의 관련 손실이 상반기에만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상의는 "전통적으로 이사와 입학, 관광 등이 활성화하는 2분기에는 내수 소비가 늘기 때문에 긍정적인 경기 전망이 나온다"며 "그러나 올해는 사드보복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감소, 국내외 정세불안에 따른 소비 위축 등 때문에 유통업계의 분위기가 어둡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사드보복 영향권의 중심에 놓여 있는 백화점(90)과 대형마트(79)를 비롯해 슈퍼마켓(88), 편의점(82) 등이 기준치에 크게 못미쳤다. 대한상의는 "백화점은 봄맞이 정기세일을 시작했지만 소비자의 지갑이 좀처럼 열리지 않고 있다"며 "사드배치가 마무리될 5~7월까지는 중국인 방문객의 증가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대형마트는 온라인 업체와 가격경쟁이 심화돼 판매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인터넷쇼핑(105)과 홈쇼핑(104)은 100을 넘었다. 인터넷쇼핑은 육류와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의 판매 확대에 힘입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홈쇼핑은 업체별로 자체브랜드가 판매를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유통업체들은 2분기 실적에 영향을 끼칠 요인으로 '소비위축에 따른 매출 부진'을 첫 손에 꼽았다. 조사대상 업체 중 49.5%(복수 응답)가 이 항목을 선택했다. 업종끼리, 업종 안에서 경쟁 심화가 각각 15.5%, 10.5%를 보였고 판촉 및 할인 행사(6.1%), 상품가격 상승(5.6%) 등이 뒤를 이었다.
2분기에 맞닥뜨릴 애로사항으로는 조사대상 업체 중 47.5%가 수익성 하락을 꼽았다. 이 항목을 선택한 업체의 비율은 1분기와 비교해 4.9%포인트 늘었다. 유통업체들은 이밖에도 유통관련 규제 강화(9.6%), 자금사정 악화(8.3%)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서덕호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5월 징검다리 연휴를 전후로 국내 소비심리의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며 "업계는 소비를 유인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한편 정부는 사드배치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