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29일 동해상에서 구조한 북한 선원 6명에 대해 합동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확인하고, 북한과의 대화채널 재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동해상에서 구조한 북한 선원 6명에 대해서 지금 합동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며 “조사가 결과가 나오면 북한에 통보한다든지 송환한다든지 그런 후속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남북 간의 대화채널이 항상 열려 있어야 된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며 “이번도 좋은 계기가 되겠다”고 적극적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대화채널 재개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보겠다”는 것.
이같은 통일부의 입장은 지난 21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우선 예를 들면 군 연락 통신망 같은 것은 빨리 복구해야 한다”는 발언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지난해 2월 10일 남측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발표에 대해 북측은 다음날 “남측 인원 추방과 동시에 북남 사이의 군 통신과 판문점 연락 통로를 폐쇄한다”고 공포했고, 이후 남북간 연락통로는 모두 닫힌 상태다.
이덕행 대변인은 “작년 2월 이후에 우리 연락관들은 판문점에 출근을 해서 매일 아침 9시와 오후 4시에 북측에게 연락 전화를 보내고, 그렇지만 북측에서 현재까지 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오전 북한이 원산 인근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에 대해 이 대변인은 “북한의 미사일 등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확인하고, 대북 인도지원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남북관계 단절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새 정부의 기조를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