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2025년 추계 도로 정비 평가 ‘우수기관’ 선정
충남 서산시가 충청남도가 주관하는 ‘2025년 추계 도로정비 평가’에서 우수기관에 선정됐다고 밝혔다.시에 따르면, 해당 평가는 충남도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도로 정비 상태와 유지 보수 예산 확보 실태 등을 평가해 도로의 기능 유지와 교통안전에 노력한 지자체를 시상한다.중점 평가 사항은 포장보수, 차선도색을 비롯해 교량, 비탈면,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각) '북한.이란.러시아 제재법'(H.R. 3364)에 서명했다. 이중 북한에 대해서는 노동자 고용금지 조항이 포함돼, 개성공단이 영영 재개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제재법은 북한의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을 봉쇄하고 다른 나라들이 북한 노동자 고용을 금지한다고 못박았다. 북한과 상품거래 등을 못하며 , 북한 당국의 강제 노동에 의해 생산된 북한산 물품의 미국 수입도 금지하는 내용이다.
여기서 쟁점은 '북한 노동자 고용금지' 조항이다. 이는 개성공단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여건 조성 시 개성공단 정상화 및 금강산 관광 재개'를 담고 있다. 또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추진은 개성공단과도 연결되어 있다.
문재인 정부의 희망대로,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고 싶어도 '북한 노동자 고용금지'라는 미 제재법에 걸리는 것. 개성공단에는 약 4만 여 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고용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3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조금 더 파악해서 알려드릴 기회를 갖겠다. 미국 제재법이 대통령의 권한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알고 있다. 더 상황을 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는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북핵 문제 해결 등 '여건 조성'이라는 조건을 붙였지만, 박근혜 정부가 주장한 북한 노동자 임금의 핵.미사일 전용설에 대한 근거가 없다고 밝히는 등 공을 들이는 상황인 것. 그러나 미국발 대북제재가 문재인 정부의 개성공단 재가동에 장애물로 떠오르는 형국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