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오전 6시 57분경 중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발을 평양 인근에서 발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미사일의 최대고도는 약 770여km, 비행거리는 약 3,700여km로 판단했다.
지난 8월 29일 평양 순안에서 발사한 ‘화성-12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은 일본 상공을 통과해 2천 700여㎞를 비행했고, 다시 17일 만에 사거리를 1천여㎞ 늘려 발사한 것.
앞서, 김락겸 북한 전략군사령관은 “중장거리 전략탄도로케트 ‘화성-12’형 4발의 동시발사로 진행하는 괌도 포위사격방안을 심중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화성-12형’은 일본 시마네현, 히로시마현, 고치현 상공을 통과해 사거리 3천 356.7km를 1천 65초 간 비행한 뒤 괌 주변 30~40km 해상에 탄착된다고 말한 바 있다. 괌 타격 능력을 입증한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전날 정부가 발표한 국제기구를 통한 800만 달러 대북 인도적 지원 결정에 대해 “우리 800만 불 지원 건 뿐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대북기조가 변경은 없는 것”이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핵 도발에 대한 단호한 제재와 대응책이 유지되지만 이와는 별개로 인도적 지원에 대한 부분은 진행할 수 있다는 게 변하지 않는 기조”라고 확인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7시6분쯤 홋카이도를 통과해 에리모미사키(襟裳岬)에서 동쪽 2000㎞ 떨어진 태평양 해상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 내 (북한 미사일) 낙하물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확인하고 “엄중히 항의하며 가장 강력한 말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제2375호가 11일(현지시간) 채택되자 외무성 보도를 통해 전면 배격한다면서 "끝을 볼 때까지 이 길을 변함없이 더 빨리 가야 하겠다는 의지를 더욱 굳게 가다듬게 하는 계기로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