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제2쓰레기 매립장 조성 사업이 진통 끝에 본궤도에 올랐다.
청주시의회는 19일 제29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제2 매립장 예산을 비롯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상정한 2조5천460억원의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2차 추경예산에 반영된 제2 매립장 올해 사업비는 64억이다.
더불어민주당 시의원들이 제2 매립장 예산을 삭감하는 내용의 수정 예산안을 상정했지만, 찬성 의원들이 정족수에 미달해 부결됐다.
수정 예산안이 가결되려면 38명의 의원 중 과반인 20명 이상이 찬성해야 하지만 17명만 찬성했다. 나머지 20명은 반대 의견을 냈고 1명은 기권했다.
제2 매립장 예산이 가결됨에 따라 청주시는 오는 11월 기본·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한 후 2019년 3월 첫 삽을 뜨기로 했다.
착공 후 2년 3개월 뒤인 2021년 6월 제2 매립장을 준공하는 것이 청주시의 목표이다.
이때까지는 현재 사용 중인 흥덕구 강내면 학천리의 광역매립장이 계속 가동된다.
청주시 관계자는 "매립장이 원만하게 교체돼야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지 않는 만큼 제2 매립장 준공을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과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충북·청주경실련은 이날 성명을 내 "청주시의 막무가내식 갈등유발을 중재하고 조정해야하는 청주시의회 역시 주민의 환경피해와 의견을 무시하고 청주시의 노지형 쓰레기 예산을 그대로 통과시켰다"며 "청주시의회도 청주시와 마찬가지로 갈등유발자로 전락한 것으로, 청주시민의 의견을 무시하는 청주시의회는 존재 의미를 잃었다"고 비난했다.
이어 "청주시의 쓰레기매립장 노지형 전환 과정의 문제를 확인해 문제가 있을 경우 노지형 매립장 조성을 중단 시킬 것"이라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도 청구해 2쓰레기매립장 노지형 전환의 문제점을 밝혀낼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