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오래 전에 폐기한 '전술핵무기'를 앞세운 '한정핵전쟁' 구상을 부활시키면서, 북을 이 구상의 1차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고 비판했다.
<노동신문>은 29일 '세계적인 핵재앙을 초래할 '한정핵전쟁' 망상'이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최근 미국이 '한정핵전쟁' 구상에 다시 불을 붙이면서 "조선(한)반도를 '한정핵전쟁' 구상의 실효성 검증을 위한 첫 시험장으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정핵전쟁'의 골자는 '전술핵무기와 운반수단의 수량을 대폭 늘려 확고한 핵 우세로 러시아를 비롯한 잠재적인 적수들의 핵보복 의지를 무력화'한다는 것. 냉전시기 미국이 핵무력의 결정적 우세를 바탕으로 상대에 국부적으로 전술핵무기를 적용하더라도 보복을 면할 수 있다는 계산아래 나온 구상이지만 대규모 핵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위험성 때문에 접어 두었던 것이다.
최근 핵을 가진 러시아, 중국과의 대결이 격화되면서 미국은 이들을 굴복시키기 위해 자신들이 필요한 시기에 '전술핵무기'로 불시 타격을 가해야 한다는 '한정핵전쟁' 구상을 다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은 미국이 유일한 핵보유국이 아니고 러시아와 중국은 강력한 보복능력을 갖춘 핵대국이라는 점에서 '한정핵전쟁'은 극히 위험한 망상이며, 미국이 핵무기를 상용무기처럼 사용하기 위해 '현대화'할수록 핵전쟁 발발확률은 그만큼 높아지게 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한정핵전쟁' 구상이 본격화될수록 미국의 비위에 거슬리는 나라들은 예외없이 미국으로부터 핵공격을 받을 수 있다며, 이를 극복할 "유일한 길은 미국과 실제적인 힘의 균형을 맞추는것 뿐"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지난 8월 미국이 네바다 주에서 진행한 전술핵폭탄 'B61-12' 시험이 북의 군수공장 파괴 등 선제공격을 위한 것이라는 일부 분석가들의 주장을 인용해 ' 막강한 핵선제타격 및 반격능력을 다 갖춘 세계적인 핵강국'인 북을 한정핵전쟁 대상으로 삼게 되면 '오히려 미국의 최후종말을 앞당기는 자멸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