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유치원, 유·초 이음교육 기반 창의예술 협력활동 마무리 행사 운영
호암유치원(원장 이규순)은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협력하여 유아들이 다양한 창의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2025년 한 해 동안 유·초 이음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유아가 좋아하는 문화예술 체험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높이고, 자연스러운 전이를 돕고자 본 프로그램의 주제...

제주국제공항이 면세업계 격전(激戰)의 장이 되고 있다. 제주공항 면세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이 6일 오후 4시 마감함에 따라 국내 면세 사업자들이 대거 입찰에 참여,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제안서 평가와 가격개찰 일정은 추후 결정·통보될 예정이다. 입찰 서류를 마감하면 공항공사가 2개 후보를 정하고 관세청에서 위법성 등을 검토한 후에 최종 사업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번 입찰 경쟁에는 호텔롯데(롯데면세점), 호텔신라(신라면세점), 신세계디에프(신세계면세점) 등 국내 1~3위 업체들이 모두 참여할 예정이다. 앞선 지난달 20일 설명회에도 이들 업체와 현대백화점, 한화갤러리아, 두산, 스위스 듀프리, 시티플러스, 에스엠면세점, 부산면세점 등이 참가해 관심을 나타냈다.
한화갤러리아 측의 조기 임대차 계약 종료 선언으로 신규사업자 선정에 나서는 매장은 제주공항 국제선 출국장에 위치해 있으며 1112.80㎡(면세매장 409.35㎡) 규모다. 한국공항공사 측은 기존 최소보장금액을 기준으로 사업자를 선정하던 것에서 기본임대료와 함께 매출과 연동해 임대료를 내는 최소영업요율(20.4%) 방식으로 바꿨다. 기존 공항 면세점 임대료는 입찰 기업이 제시한 고정액으로 지급됐으며, 이를 영업요율로 환산하면 30~35% 수준이었다.
각 업체들의 최종 입찰제안서를 확인해 봐야 하지만, 인천국제공항에서의 학습효과로 입찰기업들은 공격적인 요율 제시는 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번 만큼 내는 구조로 바뀌면 사실상 임대료 부담은 큰 폭으로 낮아지는 셈이다. 향후 잔여 계약 기간 동안 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로 연평균 연 1조원 안팎을 내야하는 롯데면세점의 경우 현재 인천공항공사와의 임대료 협상을 진행중이지만,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제주도의 경우 중국인들의 선호도가 높은 여행지로, 단체관광이 재개되면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특히 전용기가 다시 뜨면 예년 수준으로 관광객들이 증가하며 면세점 매출도 급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