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
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 아래로 내려왔다.오늘(18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4,000선 아래로 내려온 건 지난 7일 이후 7거래일 만에 처음.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지만, 이후 꾸준히 낙폭을 확대해 한때 3,953.26까지 밀...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교실, 울산교육의 수업 혁신을 이끄는 교사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과 배움을 최우선’ 목표로, ‘학생 중심 배움 수업’을 적극 장려하며 교실에 활기찬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도전하며 아이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는 현장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있다. 학생이 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지지도가 고위급 남북회담과 신년 기자회견의 영향으로 2주째 70%대를 유지했다.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0.4%포인트 떨어졌지만 주 중반에 이어진 남북 고위급 회담과 신년 기자회견의 영향으로 지난주 회복한 70%대를 2주째 유지했다.
반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지난 주간집계와 동일한 24.1%(매우 잘못함 13.8%, 잘못하는편 10.3%)를 기록했다. '모름·무응답'이라고 답한 비율은 전주보다 0.4%p 증가한 4.7%였다.
문 대통령의 지지도는 새해부터 조금씩 증가하던 '최저임금 인상 부작용' 보도와 '강남 아파트값 급등' 및 부동산 정책 비판 보도 등이 확대됐던 8일, 지난 5일 일간 집계에 비해 0.4%p 떨어진 70.7%(부정평가 25.0%)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지지도는 남북 고위급 회담 소식과 정부의 2015년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발표가 있었던 9일에도 70.3%(부정평가 24.4%)로 하락했다.
그러나 신년 기자회견이 있었던 10일, 문 대통령의 지지도는 남북회담과 위안부합의 후속조치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까지 반영되면서 71.5%(부정평가 23.0%)로 반등했다.
같은 기간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52.8% △자유한국당 16.5% △바른정당 5.6% △국민의당 5.0% △정의당 4.8%로 나타났다. 기타 정당은 2.0%, 무당(無黨)층은 13.3%였다.
민주당은 지난 주간집계 대비 1.9%p 오르며 50% 초반 지지율을 이어갔다.
한국당은 MB정부의 'UAE 유사시 한국군 자동군사개입' 비밀 군사협정 논란이 불거지며 지난주 반등세를 멈추고 2.1%p 떨어졌다. 바른정당도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세연 의원의 탈당을 겪으며 전주보다 0.4% 떨어져 지난주 반등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국민의당은 지난 주와 동률을 기록했으며, 정의당은 전주보다 0.2%p 떨어졌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을 가정한 잠재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9.1% △한국당 15.3% △국민·바른 통합당 11.2% △정의당 5.2% △국민·바른 통합반대당 3.8%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정당은 2.5%, 무당(無黨)층은 12.9%였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당 지지층 중 국민·바른 통합당으로 이동하는 규모는 지난 주 62.6%에서 51.1%로 줄어 상당폭의 감소를 보였다.
이번 주간집계는 1월8~10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만7859명에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6명이 응답을 완료, 5.4%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7년 8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