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추진 중인 65세 정년 연장 연내 입법화에 노동계가 기자 회견을 이어가며 빠른 처리를 촉구
노사 합의로 63세에 정년 퇴직한 뒤 회사와 2년째 재고용 계약을 맺은 김호성 씨.업무량은 전과 동일하지만 급여는 더 낮아졌다.정년을 훌쩍 넘겼어도 일을 그만둔단 생각은 못했다.정부와 여당이 65세로의 단계적 정년 연장을 추진 중인 가운데, 노동계는 연일 연내 입법을 촉구하고 있다.공무원 노조도 나섰다.국민연금 수급 연령이 65세로 ...
울산시 교육청-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청소년 노동인권보호 업무협약 체결
비정규직노동지원센터[뉴스21일간=임정훈]울산시 교육청과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2일 오후 2시, 울산시 교육청에서 천창수 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노동 인권 보호와 노동 침해 예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를 포함한 울산북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

대전시는 다음 달 5일부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처우개선 시책의 일환으로 대체인력 지원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2016년부터 추진된 대체인력지원사업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휴가 등 업무공백 발생시 대체인력 파견으로 서비스의 질적저하를 방지하고 업무공백 최소화는 물론 종사자의 휴식을 보장하는 등 안정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사업은 그동안 시비로만 운영됐으나 올해부터는 국비를 지원받아 총 3억3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기존 단기대체인력 33명 외에 상시인력 9명을 추가 채용하고 197개소 국고지원시설과 257개소 지방이양시설까지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사업의 안정적 정착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기존 사업을 운영하던 대전복지재단과 운영위탁 협약을 체결하고 2월 대전복지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대체인력을 채용하며 이론과 현장 교육을 실시한 후 3월부터 사회복지시설에 파견할 계획이다.
대체인력 파견을 희망하는 시설은 대체인력 근무 개시일 최소 1개월 전에 대전복지재단 홈페이지(http://dwf.kr)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소규모 생활시설을 대상으로 대체인력 지원사업을 운영했으나 이번 국비지원을 통해 지원대상 및 지원일수 확대 운영하게 됐다"면서 "시설 종사자에게는 서비스 이용 기회 확대로 처우개선과 사기진작, 이용자는 안정적 생활유지로 시민 복지체감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