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신문>은 11일 '구태의연한 인권 모략소동'이라는 제목의 정세 해설 기사를 통해 "대조선 '인권' 모략소동은 조(북)미 대화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 그것은 지구상의 마지막 냉전을 종식시키고 지역과 세계의 안전보장에 이바지하려는 우리의 평화애호적인 노력에 대한 도전이며, 조미관계 개선을 바라는 국제사회의 한결같은 지향과 염원에 대한 우롱"이라고 비판했다.
북한이 이렇게 정색하고 나선 것은 지난 달 28일 미 국무부가 '2018년 인신매매실태보고서'에서 북을 16년 연속 '인신매매국가'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미 의회 하원 본회의는 '북한인권법'을 오는 2022년까지 5년 연장하는 '북한인권법 재승인법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북한인권 개선이 한반도 비핵화 전략의 일부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결의안을 상정하는 등 북 인권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다.
신문은 "현실은 미국이 여전히 낡은 타성에서 깨여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면서 "조미사이의 관계개선과 평화흐름에 역행하는 이러한 인위적인 장벽쌓기 놀음은 누구에게도 이로울 것이 없다"고 말했다.
또 "이것을 무시하고 빛보다 어둠을 좋아하는 자들, 우리 공화국에 대한 무지와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 자들의 악설에 놀아나면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북 인권문제를 공세의 수단으로 삼을 경우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