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서울시내 건축물 5만3682동에 대한 ‘화재안전특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화재안전관리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시는 그동안의 조사가 소방시설 점검 위주였다면 이번엔 인적·지리적·환경적 요인도 종합 조사해 보다 근본적인 화재안전 시스템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화재요인을 발견해 조치 및 예방하고, 혹시라도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골든타임을 사수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는게 목표이다.
이번 화재안전특별조사는 최근 발생한 제천·밀양 화재 이후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라’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이뤄졌다.
1단계 조사 대상은 찜질방, PC방 등 다중이용업소가 입주한 건물 1만5682개 동이다. 지난 9일 조사를 시작해 연내 끝날 예정이다. 내년에는 2단계로 지하상가와 초,중,고,대학교 3만8000개 동을 내년까지 점검한다.
건축물 분야에서는 소방차 진입로가 확보됐는지, 방화문 작동 반경 내에 장애물은 없는지를 확인한다. 소화기 안전핀이 고정돼 있는지, 음향 경보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누전차단기가 설치돼있는지도 체크한다.
정문호 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에 실시하는 화재안전특별조사는 제천·밀양화재를 계기로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는 건축물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소방시설은 물론 이를 관리·운영하는 주체인 인적자원의 배치·활용 분야까지 검토 및 확인할 것”이라며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 화재로 인해 더 이상의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