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산 생태관광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최종보고회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 울산시는 11월 14일 오전 10시 시청 1별관 3층 중회의실에서 ‘울산 생태관광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울산광역시 생태관광활성화 및 지원조례」에 따라 4년마다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본계획(2026∼2029) 수립에 따른 논의를 위해 ...
▲ (사진=대구광역시청)대구시는 겨울 길목에 들어서는 11월 이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시민들이 적극적인 예방활동과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겨울철은 기온이 급격히 낮아져, 미생물 등 세균의 증식이 낮아 식중독 발생건수가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구시의 최근 5년('13~'17) 식중독 발생건수 및 환자수(75건, 897명) 중 겨울철(11월 ~ 2월) 식중독 발생 환자수는 30건, 374명(42%)에 이른다.
이처럼 겨울철 식중독 환자수가 많은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노로바이러스 때문이다. 최근 5년간 겨울철에 발생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14건, 178명으로 겨울철 식중독 환자수의 48%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올해 대구지역에서는 아직까지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전국적으로는 연초 평창올림픽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건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51건, 1,511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5년간 전국에서 발생된 식중독 원인균을 살펴보면, 노로바이러스(249건), 병원성대장균(213건) 순으로 가장 높고, 환자 발생은 병원성대장균(10,158명), 노로바이러스(5,498)명으로 2번째로 높은 만큼 주의가 요구되는 식중독이다. (※ 식약처 식중독 통계자료 인용)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 해수 등이 채소, 과일류, 패류, 해조류 등을 오염시켜 음식으로 감염될 수 있으나, 노로바이러스 감염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식중독과는 차별성이 있다.
대구시 김연신 식품관리과장은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의 영향으로 자칫 시민들이 식중독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 질 수 있어,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인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를 실천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며 “대구시 차원에서도 동절기 식중독 예방계획을 수립해 식중독 발생 이력업소, 위생취약시설 등을 중심으로 식중독 홍보 활동 및 지도․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