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현대중공업 하청노조, 외국인 노동자의 입장만 부각한 유인물 배포 논란…
[뉴스21일간=김태인 ]
울산 현대중공업 사내 하청노동조합이 최근 외국인 노동자 쿠00씨에 대한 유인물을 배포하며 "이주 노동자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라"고 촉구했으나, 쿠00씨의 기존 사업장인 '금원' 측은 유인물 내용이 외국인 노동자의 입장에서 편중되고 왜곡되어 작성되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양측의 주장이 ...
▲ (사진=환경부)환경부(장관 조명래)는 포장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기 위해 제품 과대포장 방지 및 유통포장재 감량을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
그간 불필요하고 과도한 제품 포장이 지속되고, 온라인 구매 활성화 등으로 유통목적 포장재(택배 등) 사용이 급증해왔다.
환경부는 포장폐기물 감량을 위한 연구('18. 7.~현재), 관련 업계·소비자단체·전문가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18. 9. 5.~12. 11.)을 거쳐 과대포장 방지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5월 10일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재활용폐기물 관리 종합대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것이다.
< 제품의 과대포장 방지 >
불필요한 이중포장 금지, 과대포장 규제 대상 확대, 제품 대비 과대한 포장방지를 위해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자원재활용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1월 16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시행규칙), '제품의 포장재질 및 포장방법에 대한 간이측정방법'(환경부 고시)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품 판촉을 위한 묶음 상품 등 불필요한 이중 포장을 퇴출한다.
현행 법령에서는 이미 포장되어 생산된 제품을 다시 포장하는 행위를 자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제품 판촉을 위해 묶음 상품(1+1 제품, 증정품 등)의 과도한 추가 포장 등 불필요한 포장재 사용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에 이미 포장된 제품을 단순 제품 판촉 등을 위해 불필요하게 추가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을 금지, 포장재 사용 감축을 추진한다.
다만, 고객이 요청한 선물포장 등 불가피한 경우는 규제에서 제외
현행 포장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던 전자제품류에 대한 포장규제를 신설한다.
충전기, 케이블, 이어폰·헤드셋, 마우스, 블루투스 스피커 등 소형 전자제품류 5종에 대해 포장공간비율 35% 이하, 포장횟수 2차 이내의 규제가 적용될 계획이다.
내용물 대비 과대한 포장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제품포장을 크게 만들기 위한 완구류 등의 블리스터 포장 사용, 포장공간비율 위반 회피를 목적으로 제품 내에 설명서·보자기(동그랗게 말아 제품 부피 증가) 등을 포함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선물세트·종합제품류 포장 등의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 완충·고정재 사용 제품에 대한 기준을 강화한다.
이병화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폐기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업계·정부 등 사회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라면서, "업계는 제품 생산 시 포장재 사용을 줄이고, 소비자는 포장이 간소한 제품을 구매하는 등 환경을 위한 노력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