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권성택 대표,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수교 33주년 특별전시’ 준비 위해 바짱도자기 박물관 방문
오는 12월 10일 국회에서 열리는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및 한베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시회’를 앞두고, 코베카 권성택 대표가 베트남 측 참여 작가인 부이 반 뜨(Bui Van Tu) 작가와의 협의를 위해 하노이 남동부의 바짱도자기 박물관(Bat Trang Pottery Museum)을 찾았다. 부이 반 뜨 작가는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느낀 소회를 털어놓았다. ...

지진 발생 상황을 실시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경기도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이 올해 48개소에 추가로 설치된다.
경기도는 이미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용인시청과 안양시청을 제외한 나머지 29개 시‧군청사 등 48개 시설에 올해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을 설치한다고 17일 밝혔다.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이란 기상청과 실시간 연계해 지진정보 발령 시 이를 신속하게 음성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경기도 각 소방서, 도 산하 직속기관 등 71개소에 설치돼 있다.
변영섭 경기도 자연재난 과장은 “기상청의 지진안내 문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경보시스템이지만 경기도 경보시스템은 도내 규모 3.5 이상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에만 발령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면서, “기상청에서 발령한 경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 구내방송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문자발송보다 신속하고, 트래픽으로 인한 지연 등의 우려도 없다.”고 말했다.
긴급재난문자의 경우 이동통신사의 신호 변환, 기지국 재송출 과정에서 10여 초 가량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송출량이 많을 경우 문자발송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경기도는 올해 4억8백만 원을 투입해 시‧군 청사를 위주로 설치하고, 점차 주민센터와 대형 놀이공원,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과 같은 민간시설로 늘려갈 계획이다.
올해 경기도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설치가 완료되면 도의회, 교통정보센터, 소방재난본부 등 공공기관 31개소와 소방서 34개소, 도내 시‧군 청사 54개소 등 모두 119개소에서 지진음성경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