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와 교육부는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학생 및 교사들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학교 내에서 진행되는 통일교육의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통해 「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 대상 : 전국 597개교 87,113명(학생 82,947명, 교사 4,166명)(연구학교 학생 9,717명 별도조사)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 대한 이미지로 ‘전쟁‧군사’ 또는 ‘독재‧인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6.4%로 전년과 비교하여 17.4%p 감소했다. 반면에 ‘한민족‧통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4.9%로 전년 대비 16.3%p 증가하여 북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답변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3.0%로 전년 대비 0.8%p 상승하였고, 반대로 ‘통일이 불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3.7%로 전년 대비 2.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9%로 나타나 전년의 80.4%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