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 개설… “한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직격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를 개설했다.기존 ‘이낙연 TV’ 외에 새 채널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이 고문은 “인생·사회·국가·세계의 미래를 함께 공부하고 사유하겠다”고 취지를 밝혔다.그는 일주일에 1~2회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
울산 삼산초등학교, 학생 건강 증진과 쌀 소비 촉진 위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 남구 삼산초등학교(교장 나흥하)가 학생들의 건강한 아침 식사를 장려하고 우리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떡 나눔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지역 사회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는 물론 교육청에서도 높은 호응을 얻으며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삼산초등학교는 '...
▲ [사진=체인어블 교구 완성작품]시내에 마련된 자전거 거치대 곳곳에 폐자전거가 쓰레기로 방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열흘 이상의 계고 기간 후 수거한 폐자전거를 보관소로 옮기는데, 2월 이후 수거된 수량만 500여대에 달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8년 수거한 방치 자전거는 총 1만7255대로 2017년에 비해 약 7% 증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폐자전거 문제에 대한 대책은 미미한 상태이다. 수거된 이후의 폐자전거 처리 방안은 수리해서 재활용하거나, 단순 고철처리를 통해 폐기하는 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고철 처리 과정에서는 대기 및 토양 오염이 야기되고, 재활용의 경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에 고려대학교 인액터스(Enactus)의 뉴턴 프로젝트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업사이클링을 통해 폐자전거를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뉴턴 프로젝트는 자전거 중에서도 그중 활용률이 가장 낮은 체인에 집중했다. 서로 연결이 쉽다는 체인의 특성을 이용해 조립 교구, 체인어블을 만들었다.
체인어블은 폐자전거의 체인을 이용해 학생들이 원하는 모형을 만들고, 캔버스에 전시해 업사이클링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교구이다. 거리에서 볼 수 있던 자전거가 업사이클링 작품으로 변하는 과정을 체험하며 학생들은 업사이클링을 친밀하게 느끼고, 환경 감수성을 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뉴턴 프로젝트는 노숙인을 고용해 자전거 사업을 진행하는 사회적 기업 두바퀴희망자전거와 함께 한다. 체인어블의 판매 수익은 노숙인들의 임금으로 이어지며 이들의 자활과 자립을 돕게 된다.
지금까지 여섯 곳의 지역아동센터와 중학교에서 제품 시연을 진행했으며, 3월부터 5월까지는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 정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그리고 7월 13일~14일 양일간 대전에서 열린 ‘대한민국 융합기술축전’에 참가하여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체인어블은 현재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구매가 가능하며, 2인용 제품인 체인어블-School의 경우 9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체인어블과 뉴턴 프로젝트에 관한 자세한 소식은 뉴턴 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