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자료 = 한국감정원]
전국적으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서울 집값 만큼은 2개월째 상승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아파트 외에도 단독주택, 연립주택까지 상승대열에 합류했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라는 카드까지 꺼냈지만, 재건축 일부만 주춤했을 뿐 서울 집값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졌다.
이에 대해 한국감정원은 "서울 부동산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예고 영향으로 재건축은 대체로 보합 내지 소폭 하락했으나,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서울 아파트는 지난 7월 0.07%에서 8월 0.14%로 올랐고, 서울 연립주택 등 빌라는 -0.05%에서 0.01%로 상승세로 전환했다. 단독주택의 경우 지난 7월 0.34%에서 0.43%로 상승폭을 키운 걸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대체적으로 그 폭은 줄었다. 8월 전국의 월간 주택종합매매가격은 -0.05%를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기준금리 인하, 공급물량, 개발호재 등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인다"면서 "하락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가을 이사수요 등으로 하락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