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2등급 떨어진 5등급을 기록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9일 609개 전국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발표 자료를 보면 광주시는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꼴찌인 5등급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지난해 종합청렴도가 3등급이었지만 두 등급 추락한 것이다.
외부청렴도는 지난해보다 1등급 떨어진 4등급, 내부청렴도는 2등급 하락한 5등급, 정책고객 평가는 1등급 떨어진 3등급을 기록했다.
광주시가 추진중인 민간공원 특례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한 검찰 수사가 전방위로 진행되고 있는데다 광주시 간부들이 핵심 수사 대상에 포함되는 등 대규모 악재가 터지면서 청렴도 평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5등급은 광주시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2곳에 불과했다.
전라남도의 종합청렴도는 2등급으로, 지난해 4등급에서 두 등급 상승했다. 1등급을 기록한 광역자치단체가 한 곳도 없어 2등급이 사실상 최고 등급이 됐다.
광주 자치구별로는 광주 동구가 2등급을 기록했고 광주 광산구와 북구, 서구가 3등급, 광주 남구가 4등급으로 나타났다.
전남에서는 광양시와 영광군이 각각 1등급을 차지했고 전남 순천시와 나주시, 고흥군과 장흥군, 진도군이 5등급의 수모를 당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전국 17개 교육청 가운데 3등급을 차지해 지난해 5등급에서 두 등급이나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고 전라남도교육청은 지난해와 같은 3등급을 기록했다.
지방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는 전남개발공사가 2등급, 광주도시철도공사 3등급, 광주도시공사 4등급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민권익위는 해마다 ▲공공기관과 업무경험이 있는 국민(외부청렴도) ▲공공기관의 공직자(내부청렴도) ▲전문가·정책관련자(정책고객평가)가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와 부패사건 발생현황을 감안해 종합청렴도를 산정해 왔다.
올해는 총 23만 8956명(외부청렴도 15만 8753명, 내부청렴도 6만 904명, 정책고객평가 1만 9299명)을 대상으로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조사(전화·온라인 조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