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윤상현 의원]남북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남북 관계가 살얼음판을 걸으며 대화는 물론 개성공업지구 사업도 중단된 가운데, 개성공업지구에 입주한 기억들이 큰 재산피해를 입고 있다. 더욱이 남북 대화가 언제 재개될 지 알 수 없어 기업들의 피해는 앞으로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부 기업들은 재정난에 휴‧폐업 상황에 몰려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행법령으로는 이들 개성공단 투자기업의 재산상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방안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윤상현 의원(무소속)은 개성공업지구 사업 중단으로 인하여 투자기업 등에 발생한 손실을 정부가 적절히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법안을 13일 대표 발의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국무총리 소속으로 ‘개성공업지구 손실보상 심의위원회’를 두어 개성공단 투자기업의 손실에 대한 보상 범위, 보상금의 산정 및 평가 방법과 그 지급에 관한 사항 등 손실보상에 관한 사항을 심의·결정하도록 하고 ▲보상금의 지급 신청은 이 법 시행 후 6개월 이내에 하도록 하며 ▲위원회는 보상금의 지급 신청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그 지급 여부와 금액을 심의․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성공단은 사업 중단 이전까지 123개의 투자기업이 진출하여 누적생산액 30억 달러를 초과한 남북 교류협력의 상징적 모델이었다.
그러나 2016년 2월 11일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로 인하여 투자기업들은 더 이상 개성공단에서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고, 이후 4년 이상의 세월이 경과하면서 사단법인 개성공단기업협회에 의하면 그로 인한 현재까지의 재산피해액이 1조 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윤 의원은 "특별법 발의 및 논의를 통해 개성공단 투자기업들의 경영정상화와 재기에 입법적 도움이 제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