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서버 40여 대가 해커의 공격을 받은 것은 사실이 새롭게 확인
대부분 초소형 기지국 '펨토셀' 관련 서버라는 게 조사단의 설명이다.공격을 받은 기간은 지난해 3월부터 7월 사이이다.특히, 'BPF도어'에 서버가 감염됐는데, 'BPF도어'는 SKT 해킹 사태 때도 큰 피해를 준 악성 코드다.그런데 KT는 악성코드를 발견하고도 신고도 하지 않고, 해킹 흔적까지 지웠다.조사단은 감염 서버 중에 핵심 이용자 정보...
울산 삼산초등학교, 학생 건강 증진과 쌀 소비 촉진 위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 남구 삼산초등학교(교장 나흥하)가 학생들의 건강한 아침 식사를 장려하고 우리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떡 나눔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지역 사회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는 물론 교육청에서도 높은 호응을 얻으며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삼산초등학교는 '...
▲ [사진출처 = JTBC 뉴스 캡처]한반도를 덮친 집중호우로 인해 북한에서도 홍수 주위경보를 발령하는 등 재난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5일 조선중앙방송은 "기상수문국(한국 기상청에 해당) 통보에 의하면 5~6일까지 대동강 유역에 평균 150~300㎜의 많은 비가 내릴 것이 예견된다"며 "6일 저녁 경에 대동강 다리지점 수위는 경고 수위를 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동강은 수도 평양으로 흐르고 있어 범람할 경우 평양시 일대 농경지와 주택에 적지 않은 피해를 줄 수 있다.
지난 2007년에도 대동강 일대 폭우로 평양의 통신, 교통 등의 도시기능 상당 부분 마비된 바 있다. 당시 외무성 청사를 비롯해 평양 시내 중앙청사 건물이 물에 잠겼고, 8월 말 예정이었던 2차 남북정상회담도 두 달 연기돼 10월에 개최됐다.
북한은 또 오는 6~7일 대동강과 청천강, 예성강 유역에 큰물(홍수) 주의경보를 발령했다.
청천강은 평안북도를 지나 황해로 흐르고, 예성강은 개성공단 일대를 지나 한강 하구로 이어진다.
황해도의 예성강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방송은 "예성강 유역에서도 평균 150~250㎜의 많은 비가 내려 연백호의 유입량과 방출량이 하루 안전통과 흐름양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견된다"고 했다.
예성강은 북한 최대 쌀 생산지인 황해남도의 주요 물길이다. 홍수 발생 시 농업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송은 "해당 지역의 주민과 일군(간부)들은 큰물 주의 경보가 내려진 데 맞게 자기 지역에서 발생한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을 시급히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