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자료제공 = 사람인]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나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42개사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제 실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36.3%가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조사 결과(22%) 대비 14.3%p 증가한 수치며, 같은 조사를 시작한 2017년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다.
특히, 2017년(19%)과 2018년(22.7%)의 실시 비율도 20% 초반 내외로 비슷했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은 57.3%, 중소기업은 30.3%로, 유연근무제를 실시하는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들 기업 중 50%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올해 2월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고 답해, 코로나19 사태가 유연근무제를 도입 기업을 늘린 분수령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를 실시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워라밸 보장을 위해서’(45.2%, 복수응답)가 1위였고, 근소한 차이로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서’(42.7%)가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업무성과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34.7%) ‘주52시간 근로시간을 준수하기 위해서’(16.9%), ‘비용 절감을 위해서’(8.9%) 등의 순이었다.
현재 실시 중인 유연근무제 유형으로는 ‘시차출퇴근제’가 71.8%(복수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재택근무제(27.4%), 시간단축근무제(23.4%), 집중근무제(8.1%) 등의 순이었다.
전체 직원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직원의 비율은 평균 45.7%로 집계됐다. 이 역시 지난해(39.5%) 대비 6.2%p 늘었다.
유연근무제에 대한 직원 만족도는 ‘높다’(45.2%), ‘매우 높다’(27.4%), ‘보통이다’(24.2%) 등의 순으로, 72.6%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따라 유연근무제 실시 기업의 대다수(96%)가 앞으로도 유연근무제를 유지할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단 4%만이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유연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218개사)들은 그 이유로 ‘제도 실시를 위한 여건이 안 돼서’(5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들었다. 다음으로 ‘타 부서, 협력사 등과의 협업에 문제가 생겨서’(26.6%), ‘업무가 많아 여력이 없어서’(16.5%), ‘경영진이 반대해서’(11.5%), ‘성과 하락이 우려돼서’(8.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 중 22%는 향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그렇다면, 기업들은 유연근무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전체 응답기업의 대부분인 80.4%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유연근무제가 긍정적인 이유는 ‘업무성과 및 생산성이 향상될 것 같아서’(53.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직원 만족도, 애사심이 높아질 것 같아서’(41.8%), ‘집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서’(33.1%), ‘인건비 절감에 도움이 돼서’(12%), ‘법정 근로시간을 지키는 데 도움이 돼서’(11.6%) 등이었다.
반면, ‘부정적’이라고 밝힌 기업들(67개사)은 그 이유로 ‘타 부서 등과의 협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50.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사용 불가능한 부서와 형평성 문제가 있어서’(41.8%), ‘직원들이 제도를 악용할 것 같아서’(26.9%), ‘가능한 업종과 불가능한 업종 간 형평성 문제가 있어서’(25.4%), ‘전반적인 성과 하락이 우려돼서’(22.4%) 등을 들었다.
한편, 전체 기업들은 유연근무제가 보편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직원들의 책임감 있는 자세’(49.1%, 복수응답), ‘경영진/관리자의 직원 신뢰’(44.4%), ‘도입 가이드라인과 노하우’(34.5%), ‘도입을 위한 예산 지원’(30.4%), ‘생산/효율성 중시하는 기업 문화’(23.1%)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