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자료제공 = 사람인]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채용 비리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러한 분위기에 실제 구직자 5명 중 2명은 실제 채용 과정 중 불공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구직자 1,578명을 대상으로 ‘채용 공정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39%가 채용과정에서 불공정함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겪은 불공정한 경험 1위는 ‘직무와 관련 없는 질문(가족관계, 학벌, 결혼여부 등)’(42.4%, 복수응답)이었다. 다음은 ‘내정자가 있는 듯한 채용 진행’(42.3%)이 바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근무조건 등의 기재가 불분명함’(27.6%),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 몰림’(25%), ‘나보다 스펙과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이 합격’(23.4%) 등의 순이었다.
이들은 ‘서류전형’(44.9%, 복수응답)과 ‘실무 면접전형’(42.1%)에서 불공정함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다. 계속해서 ‘임원 면접전형’(29.3%), ‘연봉협상’(16.3%), ‘인적성 및 필기전형’(7%) 순으로 답했다.
서류전형에서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재항목은 ‘연령’(41.3%, 복수응답)을 첫번째로 꼽았다. 이어, ‘가족의 직업 및 재직 기업’(37.8%), ‘학벌’(35.7%), ‘학력’(28%), ‘보유재산’(24.7%), ‘성별’(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 질문 중 불공정한 요소가 있다고 생각되는 질문은 ‘결혼 및 출산계획 관련 질문’(50.6%, 복수응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계속해서 ‘나이 관련 질문’(45.4%), ‘종교, 정치성향 등 가치관 관련 질문’(35.2%), ‘가족 관련 질문’(34.7%) 등이 있었다.
그렇다면 채용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꼽히는 블라인드 채용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전체 응답자 중 67.1%가 블라인드 채용 과정을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32.9%는 블라인드 채용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어차피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돼서’(54.5%, 복수응답)를 들었다. 이어 ‘명확한 평가기준이 없는 것 같아서’(46.6%), ‘채용 비리가 발생하기 더 쉬워서’(30.1%), ‘스펙을 제외하고 역량을 가려내기가 더 힘들어서’(26.8%), ‘평가 과정 중에 출신학교 등 스펙을 유추할 수 있어서’(20%) 등의 의견이 있었다.
실제로 블라인드 채용 경험자(363명) 중 37.7%는 채용 과정에서 불공정을 체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이 불공정함을 느낀 부분으로는 ‘면접에서 스펙을 유추할 수 있는 질문을 받음’(4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 질문이 집중됨’(43.8%), ‘면접 시 외모, 성별 등을 평가하는 것을 느낌’(32.8%), ‘나보다 스펙과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이 합격함’(27.7%)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