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자료제공 = 사람인]기업의 절반 이상이 신입 채용 시 당장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있는 신입' 이른바 '올드루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92개사를 대상으로 ‘올드루키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60.6%가 선호한다고 답했다.
올드루키 채용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단연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어서’(79.7%, 복수응답)를 1위로 꼽았다. 그 뒤를 ‘교육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서’(38.4%), ‘업무나 생활에 노련함이 있을 것 같아서’(37.3%), ‘조직적응력이 높아서’(32.2%), ‘직장생활의 기본 매너를 갖추고 있을 것 같아서’(24.9%) 등이 뒤따랐다.
실제로 기업이 평가한 올드루키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올드루키를 채용한 기업의 59.2%는 경력 없는 신입사원보다 올드루키가 만족도가 더 높다고 답했다. 33.7%가 ‘비슷하다’고 응답했고, 경력 없는 신입사원의 만족도가 더 높은 기업은 7.1%에 불과했다.
올드루키로서 선호하는 경력 연차는 평균 1년 5개월이었다. 구간별로 살펴보면 ‘21~24개월 미만’(25.4%), ‘12~15개월 미만’(25.4%), ‘24개월 이상’(20.9%), ‘15~18개월 미만’(9.6%) 등의 순으로 대체적으로 1년 이상의 경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올드루키 지원자가 비슷하거나 증가했다는 응답이 88.4%로 감소했다(11.6%)는 응답의 약 7배에 달했다.
실제로 최근 1년 내 입사한 신입사원 10명 중 2명(21.8%)은 올드루키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드루키가 입사 지원을 했을 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는 ‘직무 수행능력’(51%)이었다. 이어 ‘성실함 및 책임감’(20.2%), ‘조직 적응력’(13%), ‘열정 및 도전정신’(5.5%), ‘지원 동기’(5.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이러한 올드루키 선호현상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을까. 거의 대부분(92.8%)이 ‘비슷하거나 강화될 것’이라 예상했으며, 7.2%만이 ‘약화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기업이 올드루키를 채용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경력 없는 신입이 설 자리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소규모 회사에서의 경력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구직자들의 사고의 전환도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