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서버 40여 대가 해커의 공격을 받은 것은 사실이 새롭게 확인
대부분 초소형 기지국 '펨토셀' 관련 서버라는 게 조사단의 설명이다.공격을 받은 기간은 지난해 3월부터 7월 사이이다.특히, 'BPF도어'에 서버가 감염됐는데, 'BPF도어'는 SKT 해킹 사태 때도 큰 피해를 준 악성 코드다.그런데 KT는 악성코드를 발견하고도 신고도 하지 않고, 해킹 흔적까지 지웠다.조사단은 감염 서버 중에 핵심 이용자 정보...
울산 삼산초등학교, 학생 건강 증진과 쌀 소비 촉진 위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 남구 삼산초등학교(교장 나흥하)가 학생들의 건강한 아침 식사를 장려하고 우리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떡 나눔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지역 사회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는 물론 교육청에서도 높은 호응을 얻으며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삼산초등학교는 '...
▲ [SHUUD.mn=뉴스21 통신.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최근 '금연법'을 채택한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언급하며 흡연의 유해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세계적으로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는 흡연피해' 기사에서 "흡연은 자연재해나 교통사고보다 더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국 의료진과 전문가를 인용해 "신형 코로나바이러스가 주로 기도와 폐를 통해 침입하기 때문에 흡연자가 악성 전염병(코로나19)에 걸릴 위험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한 간접흡연의 위험성도 지적했다. 매체는 "간접흡연에 의해 연간 100만명이 목숨을 잃고 있으며 6만명 이상의 5살 미만 어린이들이 호흡기감염증으로 죽고 있다"며 "오랫동안 간접흡연의 피해를 본 청소년들이 같은 또래에 비해 감기·기관지염·폐렴·기관지천식 등 호흡기계통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발육상태도 상대적으로 뜨다(느리다)"고 전했다.
이어 "담배꽁초가 완전히 분해되자면 짧게는 18개월 길게는 10년이 걸린다"며 흡연이 환경오염과 산불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북한이 채택한 금연법을 고려한 듯 "최근 연간 여러 가지 금연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하나의 세계적 추세"라고도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 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금연법을 채택했다.
금연법은 담배의 생산부터 판매, 흡연까지 통제하는 법률로, 극장·영화관 등 공공장소, 어린이 보육기관, 교육기관, 의료·보건시설, 상업·금양 봉사시설, 공공운수수단 등에 흡연 금지장소를 지정하고 흡연 질서를 어겼을 때 처벌하는 내용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