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자료제공 = 사람인]코로나19 사태로 이른바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인맥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616명을 대상으로 ‘언택트로 인한 인맥 관리 어려움’을 조사한 결과, 58.5%가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66.4%), 40대(63.1%), 30대(58.4%), 20대(53.5%)의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인맥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젊은 세대가 상대적으로 SNS나 모바일 메신저 등 비대면 소통에 익숙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로 인해 할 수 없어서 아쉬운 대면 인맥 관리 활동으로는 ‘식사 등 개인적 만남 자제’가 74%(복수응답)로 1위였다. 다음으로 ‘경조사 참석 어려움’(40.4%), ‘동창회 등 사적 모임 자제’(37.7%), ‘업계 모임 등 공식 외부 행사 참석 어려움’(33.4%), ‘사내 행사 중단 및 축소’(18.4%) 등의 순이었다.
이들이 올해 언택트 인맥 관리를 위해 가장 힘을 쏟은 활동은 ‘문자, 메신저 연락’(78.8%,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전화 통화’(56.9%), ‘SNS’(36.2%), ‘기프티콘 등 선물’(20.6%), ‘이메일’(15.9%)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SNS’를 사용한다는 비율은 20대(50.7%)가 4050세대(각 25.3%, 22.8%)의 두 배 가량 됐다. 또, ‘기프티콘 등 선물’은 30대(25.9%), 20대(22.7%), 40대(15.8%), 50대 이상(4%)의 순으로, 2030세대가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반면, 40대와 50대는 ‘전화’의 이용 비율(각68.4%, 62.4%)이 20대와 30대(각 55.1%, 51%)보다 크게는 20%p 가까이 높았다. ‘이메일’을 활용하는 이들 역시 4050세대(각 22.7%, 17.8%)가 2030세대(각 11.3%, 15.1%)보다 많았다.
그렇다면, 언택트 인맥 관리의 효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
전체 응답자의 64.7%가 언택트 인맥 관리의 효과가 대면활동보다 ‘떨어진다’고 답해 과반 이상이었다. 28.5%는 ‘별 차이가 없다’고 답했으며, ‘대면활동보다 높다’는 답변은 6.8%에 불과했다.
실제로 응답자들은 인맥 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문자, 메신저 연락’(59.1%, 복수응답), ‘술자리 등 개인 만남’(48.6%), ‘경조사 참석’(48.4%), ‘전화 통화’(38.7%), ‘모임 참여’(31.9%), ‘식사’(27.7%), ‘기념일 챙기기’(17.9%), ‘트위터 등 SNS’(14.2%) 등을 꼽아, 비대면 보다는 대면 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계속 언택트 방식으로 인맥을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9.1%가 ‘그렇다’고 밝혔다. 성별로는 ‘여성’(45.7%)이 ‘남성’(33%)보다 언택트 방식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12.7%p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