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 [이미지 = 픽사베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로 인한 경기침체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에 이어 0%대에 머물렀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2(2015=100)로 1년 전보다 0.5% 상승했다. 이는 지난 17일 발표된 정부의 전망치(0.5%)와 같은 수준이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0.4%에 이어 2년 연속으로 0%대를 기록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5년 이후 처음이다.
연간 소비자물가가 연간 기준으로 0%대를 기록한 시기는 앞서 저유가와 경기 부진이 겹쳤던 2015년(0.7%)과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0.8%)을 포함해 모두 네 차례다.
올해 서비스 가격은 1년 전보다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개인서비스는 1.2% 상승하며 2012년(1.1%)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중 집세는 0.2% 증가했다. 전세는 0.3%, 월세는 0.1%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코로나19 관련 정책 지원과 교육 분야 공공지원의 영향으로 1.9% 하락했다. 이는 1985년 통계작성 이후 최저치다.
상품은 0.9% 올랐다. 특히 최장기간 장마로 인해 농축수산물 가격이 6.7% 상승했다. 2011년(9.2%) 이후 최고치다. 배추(41.7%), 양파(45.5%), 고등어(12.8%), 돼지고기(10.7%) 등이 올랐다.
공업제품은 0.2% 하락했다. 코로나19 판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국제 유가가 하락하면서 석유류가 7.3% 내린 영향이다.
도시가스 인하 영향으로 전기·수도·가스는 1.4% 내렸다.
올해 근원물가도 낮은 수준이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를 빠져나오던 1999년(0.3%)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4% 상승했다. 역시 1999년(-0.2%) 이후 최저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9.0% 올랐다. 2010년(21.3%) 이후 최고치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하는 '생활물가지수'는 0.4% 상승해 2018년(1.6%)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월간 상승률은 3개월 연속 0%대를 기록했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67(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0.5% 상승했다.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6월(0.0%), 7월(0.3%), 8월(0.7%), 9월(1.0%)까지 오름세를 키우다가 10월에 정부 통신비 지원 영향에 0.1%로 떨어졌다.
이후 11월엔 통신비 지원 효과가 사라지면서 0.6%로 내려앉았고, 이달에는 0.5%를 나타냈다.
12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심의관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국제유가가 내리면서 석유류 가격이 하락했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외식이나 여가 등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 폭이 제한됐다"며 "고교납입금 지원 등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공공 서비스가 하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12월 물가 역시 연간 물가처럼 전체적으로 전기·수도 등이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가격이 상승한 것이 그대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