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의 원천기술을 탈취하기 위해 글로벌 제약사인 화이자를 해킹하려고 한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 정보위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과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16일 정보위 회의에서 국정원이 이 같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하 의원은 “북한이 화이자를 해킹해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의 원천기술을 탈취하려는 시도가 사이버 공격 중에 있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사이버 공격 시도는 매일 평균 158만 건"이라며 이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북한발 사이버공격시도의 사례로 "지자체 행정망 침투를 위한 주차관리업체 시스템에 해킹했고, 첨단기술및 금전탈취 목적의 해킹메일을 뿌리는 한편 기업 해킹 랜섬웨어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원은 정보위 회의에서 유관기관과 대응해 대부분 선제 차단했다고 보고했다.
하 의원은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코로나19 확산 관련 북한에서 밀수 행위 처벌 강화하고, 국경에 접근하는 사람이나 짐승, 조류에 대한 사살 명령을 재차하달했다"고 북한의 코로나 동향을 설명했다.
한편 북한은 작년 한국 영화 및 드라마 등 영상물을 유입하면 최대 사형에 처하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 의원은 "쉽게 말해 한류를 처벌하는 것"이라며 이날 비공개 정보위 전체회의 때 이같은 내용의 북한 동향이 보고됐음을 전했다.
김 의원도 “북한이 국내 주요 인사 100명에게 해킹 메일을 유포한 것도 있다고 보고 받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