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 [자료제공 = 사람인]면접 진행 시 면접관의 잘못된 발언과 태도가 온라인 상에서 논란이 돼 기업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실제로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면접 시 갑질이나 차별 발언 등 논란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면접 시 자기 검열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261개사를 대상으로 ‘면접 갑질 논란 우려’에 대해 조사한 결과, 무려 80.1%가 논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커뮤니티나 SNS 등을 통해 면접 관련 논란이 크게 퍼지는 경우가 늘면서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부담감으로 인해 면접관들은 면접 시 자기검열을 ‘강화하고 있다’(69.9%)고 답했다.
자기검열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회사 이미지 관리를 위해’(62.3%,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단연 많았다. 이어 ‘좋은 인재를 뽑기 위해서’(56.8%), ‘면접 갑질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어서’(39.7%), ‘문제 발생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서’(15.8%), ‘회사의 내부 방침이어서’(8.2%), ‘지원자로부터 안 좋은 피드백을 받은 적이 있어서’(6.2%) 등의 의견이 있었다.
조심하는 질문 유형으로는 ‘성차별 소지가 있는 질문’(79.5%,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애인 유무 등 개인사 관련 질문’(61.6%), ‘부모, 집안 등 배경 관련 질문’(56.2%), ‘신체 조건, 외모 관련 질문’(52.1%), ‘출신학교 등 학력, 학벌 관련 질문’(48.6%), ‘정치 성향 질문’(42.5%), ‘종교 관련 질문’(36.3%), ‘나이 관련 질문’(28.1%) 등의 순이었다.
태도 측면에서 하고 있는 노력으로는 ‘지원자 자소서 숙지 등 사전 준비’(53.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면접 시 서류를 전혀 검토하지 않고 오는 등 면접관의 성의 없고 미흡한 준비가 논란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바른 자세로 착석 등 전반적 태도’(46.6%), ‘입·퇴장 시 인사 등 기본 매너’(43.2%), ‘지원자에 대한 반말 자제’(47.9%), ‘면접 시간에 지각하지 않도록 함’(39%), ‘말을 끊지 않는 등 경청 노력’(47.3%), ‘지원자 질문에 대한 성심 어린 답변’(39%)을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면접관 개인의 자기검열은 강화되는 추세지만, 기업 차원의 노력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관 교육이나 면접 관련 매뉴얼을 제공하는 기업은 10곳 중 3곳(29.9%)에 그쳤다. 특히, 기업규모별 편차가 컸다. 대기업 62.5%가 면접관 교육을 받거나 매뉴얼이 있다고 응답한 반면, ‘중소기업’은 23.1%에 그쳐 약 3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