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 개설… “한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직격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를 개설했다.기존 ‘이낙연 TV’ 외에 새 채널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이 고문은 “인생·사회·국가·세계의 미래를 함께 공부하고 사유하겠다”고 취지를 밝혔다.그는 일주일에 1~2회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
울주군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 심폐소생술 교육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보건소가 11일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예방 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외부 전문 강사를 초청해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법,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
▲ [사진제공 = 삼성물산]삼성물산은 기후변화 대응 관련 세계적 평가제도인 ‘2020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 탄소 정보 공개프로젝트) Korea Awards’에서 5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으며, 2년 연속 최고등급인 ‘CDP Korea 명예의 전당 -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됐다.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시작돼 전 세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이슈 관련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글로벌 프로젝트로, 전 세계 500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정보를 요청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기준 시가총액 상위 200대 기업 중 62개 기업이 참여해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며, CDP의 평가·분석 보고서는 ESG 투자 판단의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
삼성물산은 2012년부터 5년 연속 탄소경영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며 2016년 ‘명예의 전당’에 처음 이름을 올렸으며, 2019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3년 연속 등극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CDP 최고등급인 ‘명예의 전당 -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됐다. 명예의 전당 플래티넘 클럽에 이름을 올린 국내 기업은 삼성물산을 포함해 4개 기업뿐이다.
삼성물산은 다양한 업의 특성에 따른 기후변화 리스크와 사업 기회에 대해 인지하고, 삼성물산의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는 물론 협력사의 배출량까지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건설업계 최초로 온실가스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분석하고 배출량 감축을 위한 중장기 전략과 목표를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건설 부문은 친환경 건축물 건립을 위해 차별화된 에너지 효율화 기술과 온실가스 저감 공법을 발굴해 제품의 기획, 설계, 시공 및 운영단계까지 모든 과정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2019년 싱가포르 주법원 청사 건물이 싱가포르 친환경 건축물 인증(Green Mark)을 취득하고, 국내에서는 2019년 한 해에만 래미안 블레스티지 등 7개 건축물이 녹색건축 인증(G-SEED)을 획득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보였다.
상사 부문은 태양광 및 캐나다 온타리오 풍력발전 사업, 에너지 저장장치 공급 등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패션 부문은 재생 원료, 친환경 소재 등을 적용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으며, 리조트 부문은 용인시의 소각장 폐열을 활용해 에버랜드와 캐리비안베이에 난방을 공급하는 등 부문별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 ‘CDP Korea 명예의 전당 -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하게 됐다.
삼성물산은 국내 비금융사 최초 탈석탄 선언, 이사회 산하 거버넌스위원회를 ESG 위원회로 확대 개편하는 등 ESG 경영 기반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물산은 DJSI 평가 4년 연속 ‘World 지수’ 편입,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 5년 연속 통합 A등급 이상을 획득하는 등 ESG 선도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