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 [자료제공 = 사람인]자유롭고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만들고,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 등으로 기업 전반에 걸쳐 여름철 복장 자율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 가운데, 기업 10곳 중 7곳은 반바지에 샌들을 허용하는 ‘완전 복장 자율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492개사를 대상으로 ‘여름철 복장 자율화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67.1%가 ‘긍정적이다’고 밝혔다.
복장 자율화가 긍정적인 이유는 ‘복장이 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71.2%, 복수응답)가 1위였다. 다음으로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일 것 같아서’(51.8%),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30%),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가 형성될 것 같아서’(22.4%),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부합하는 것이어서’(16.7%), ‘냉방비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서’(15.5%) 등의 순이었다.
반면, 복장 자율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기업들(162개사)은 그 이유로 ‘복장에 격식이 필요한 직무, 업종도 있어서’(54.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계속해서 ‘상호간의 예의가 아닌 것 같아서’(38.3%), ‘부적절한 복장 착용자 발생 및 관련한 직원간 갈등이 생길 것 같아서’(22.8%), ‘긴장감이 떨어지는 등 업무 효율이 낮아질 것 같아서’(17.9%), ‘조직 기강이 해이해질 것 같아서’(11.1%)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실제 기업들의 복장 자율화 현황은 어떨까.
반바지에 샌들까지 가능한 ‘완전 자율화’는 전체 응답 기업의 26%에 그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기업이 많은 것과 현장의 모습과는 괴리가 있었다.
이들 기업들은 완전 복장 자율화가 회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업무 효율 향상’(50.8%, 복수응답), ‘창의적이고 유연한 기업문화 형성’(49.2%), ‘직원 만족도와 애사심 향상’(36.7%), ‘MZ세대, 우수 인력 유치에 도움’(20.3%) 등, 긍정적인 답변을 많이 꼽았다. 반면, ‘전체적인 회사 기강이 해이해짐’(3.9%), ‘부적절한 복장에 대한 직원들 간 트러블 발생’(3.1%), ‘오히려 업무 효율이 저하됨’(0.8%)과 같이 부정적인 의견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실제로, 대부분(99.2%)은 앞으로도 자율 복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완전 복장 자율화를 도입한 곳 이외에는 라운드넥 티, 청바지 등 일상복을 허용하는 ‘높은 수준의 자율화’를 시행 중인 기업이 43.5%로 가장 많았으며, 노타이 셔츠 등 비즈니스 캐주얼룩을 입는 ‘일부 자율화’는 25.2%였다. 정장 및 유니폼을 착용하는 기업은 5.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