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겨울철 강설 대비 모의훈련 및 안전교육 실시
이번 훈련은 가산면 제설창고에서 진행했으며, 도로보수원과 읍면동 제설담당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겨울철 대설과 한파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시는 이번 훈련을 통해 제설 담당자들이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현장 대응체계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시는 2025~2026년 도로제...
▲ [이미지 = 픽사베이]지난해와 올해 연달아 수해를 입은 북한이 국토환경 관리를 경제정책 집행에 있어서 최우선 과제로 꼽으면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당의 경제정책 집행에서 제일 우선적인 중심과제' 제목의 기사에서 "국토관리 사업은 열을 투자해 백을 지키고 천을 얻는 일"이라며 "우리 국가가 빠르고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자면 반드시 자연의 대재앙을 극복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문은 "막대한 인적, 물적자원을 동원해야 하는 거창한 자연개조사업으로, 모든 시·군에서 자체 힘으로 추진하고 시·군 책임 일군(간부)들이 자기 지역의 국토관리사업을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이처럼 북한이 국토환경 관리사업에 역점을 두는 것은 최근 몇 년간 수해로 막대한 피해를 본 경험 때문이다.
2019년에는 태풍 '링링'이 최대 쌀 생산지인 황해도를 덮치면서 농경지 4만6200여정보(약 458㎢)가 침수·매몰 피해를 보았고, 지난해에는 8월 장마와 9월 잇단 태풍으로 황해북도에서 주택 730여채가 물에 잠기고 함경도에서는 주택 1000여세대가 붕괴했다.
올해도 함경남도에 많은 비로 제방이 무너지면서 주민 5000명이 긴급대피하고 주택 1170여세대가 침수·붕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최근 연간 이상기후 현상은 위험도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재해성 기상현상이 우심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해마다 그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은 국토관리 사업의 중요성과 절박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수해를 계기로 이례적으로 식량난을 인정한 상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6월 노동당 전원회의를 열고 "지난해 태풍 피해로 알곡 생산 계획을 미달한 것으로 해 현재 인민들의 식량 형편이 긴장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